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가 열흘간 영화 여정을 마치고 26일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올해 BIFF에는 지난해보다 많은 관람객이 몰렸으며, 특히 경쟁영화제로서 첫 발을 성공적으로 뗐다는 평가가 나온다.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회는 26일 오전 영화의 전당에서 제30회 BIFF 결산 기자회견을 열고, 열흘간 이어진 영화제 전반을 되짚었다.
올해 영화제는 개막작인 박찬욱 감독의 신작 '어쩔수가없다'를 시작으로 지난 17일부터 10일 동안 모두 328편(커뮤니티비프 87편 포함)이 관객을 만났다.
공식 상영작을 관람한 관객 수는 모두 17만 5889명에 달했다. 지난해보다 영화제 기간 휴일이 줄었는데도 관객 수는 전년 대비 2만 명이나 늘어 흥행에 성공했다. 영화제 기간 영화의전당을 비롯해 부산 전역에서 개최된 다양한 행사에는 모두 무려 6만 3천여 명이 참가하는 등 부산 전역에 축제 분위기가 이어졌다.
매년 공개되던 좌석 점유율 수치는 올해 별도로 발표되지 않았지만, 전체 영화 좌석수가 지난해 대비 1만석 이상 늘어났는데 역대 최대 좌석 점유율을 기록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30주년에 걸맞은 '역대급' 화려한 게스트에 관객 반응이 뜨거웠다.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과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 등 세계적인 거장과 줄리엣 비노쉬, 양조위, 이병헌 등 국내외 게스트 3109명이 영화제에서 관객과 만났다.
감독과 배우 등 영화인이 직접 관객과 만나는 '게스트와의 만남(GV)'는 지난해보다 20차례 늘어나 323차례 열렸고, 올해 신설된 영화 애호가들을 위한 영화 클래스 프로그램 '씨네클래스'도 전회 매진되며 큰 호응을 얻었다. 봉준호 감독과 '케이팝 데몬 헌터스' 매기 강 감독, 배우 강동원 등이 직접 선정한 추천작을 상영한 30주년 특별기획 프로그램 '까르뜨 블랑슈'도 관객들의 뜨거운 관심 속에 진행됐다.
3년 만에 재개된 '포럼 비프'는 '다시 아시아영화의 길을 묻다'를 주제로 9개 세션으로 진행됐으며, 패널 74명과 관객 725명이 참여해 아시아 영화산업에 대한 다층적인 논의가 이뤄졌다.
올해로 20회를 맞은 아시아콘텐츠&필름마켓(ACFM)은 역대 최다 방문 인원을 기록하며 아시아 최대 글로벌 콘텐츠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 입지를 확고히 했다. 나흘간 진행된 마켓에는 역대 최다인 3만여 명의 참가자가 다녀갔고, 마켓 등록자 역시 3024명으로 전년 대비 14.37% 증가했다. 특히 등록자 중 60%는 해외 영화인으로, 글로벌 콘텐츠 마켓으로서 파급력을 보여줬다.
올해 신설된 경쟁 부문에는 아시아 영화 14편이 초청됐다. 경쟁 부문 심사위원장을 맡은 나홍진 감독과 양가휘, 마르지예 메쉬키니 등 아시아 영화인 7명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수상작품을 선정했다.
첫 경쟁 부문 수상 결과는 이날 오후 열리는 폐막식에서 발표한다. '부산 어워드'라는 이름으로 대상과 감독상, 심사위원 특별상, 배우상, 예술공헌상을 시상하고, 대상을 수상한 작품이 폐막작으로 상영될 예정이다.
BIFF 측은 경쟁영화제로의 변신에 대해 "첫 발을 잘 뗐다"고 자평했다. 정한석 BIFF 집행위원장은 "심사과정을 지켜봤는데 예상대로 굉장히 성실하고 치열한 격론을 벌여 결과에 도달했다"며 "아시아 영화가 발전적으로 널리 알려지는데 기여한다는 경쟁 부문 신설 목적이자 장기적 목표 측면에서 내부적으로 첫 발을 잘 떼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쟁 부문에 초청된 작품 가운데 일본 사가야 다이스케 감독의 '고양이를 놓아줘'와 스리랑카 비묵티 자야순다라 감독의 '스파이 스타'는 BIFF 초청 이후 해외 배급사를 구했다.
정 집행위원장은 "영화제를 찾는 창작 주체들에게 산업적인 측면에서 프로모션 효과가 있어야 하고, 이 부분을 좀 더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아시아 영화를 위한 더 영향력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 싶다는 목표처럼 경쟁 부문을 통한 실리적 효과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이 잇따라 영화제를 찾은 것과 관련해 영화제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지원을 요청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박광수 이사장은 "여당 대표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이 방문해 영화산업 관계자들과 한국 영화계 문제 타개를 위한 간담회를 진행했다"며 "재정 지원 부분도 검토해 지원하겠다고 이야기했지만, 결과는 조금 더 두고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2022년에는 영화제 예산 중 20%가 국비였지만, 매년 감소해 올해는 국비 비율이 4%까지 떨어졌다"며 "칸과 베니스 베를린 등 세계적인 영화제는 국비가 50% 가까이 된다고 알고 있다. 글로벌 영화제로 발전해나가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지원을 부탁드린다. 많이 도와달라"고 말했다.
BIFF 측은 기념비적인 30주년이 지나간 내년에도 올해 성과로부터 다시 출발하겠다는 다짐을 밝혔다. 정 집행위원장은 "30회가 끝났으니 평상시로 돌아간다는 태도가 아니라, 올해 성과를 기준으로 새롭게 출발하는 마음가짐으로 내년과 이후 행사를 치열하게 준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