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딥시크 창업가 배출 저장대와 AI 인재 교류 협력

강기정 시장, 저장대 총장 면담…인재양성 시스템 청취
양측, 대학 중심 창업생태계 모델 공유·교류 확대 의지
광주시, 항저우 이어 저장대와 협력 성과…AI 인재양성 가속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25일(현지시간) 오후 중국의 대표적 인공지능(AI) 기술인재 육성 대학인 저장대를 방문해 마옌밍 총장과 AI 인재육성 등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광역시가 중국 인공지능(AI) 인재의 요람으로 꼽히는 저장대학교와 인재 교류 협력을 본격화했다. 광주시는 항저우시와 우호 협력에 이어 저장대와 손잡으며 '모두의 AI' 실현에 한층 속도를 내게 됐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25일(현지시간) 저장대학교를 방문해 마옌밍 총장과 면담하고 광주지역 대학과 저장대 간 AI 인재 교류 방안을 논의했다. 강 시장은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전교생을 대상으로 AI 교육을 실시하는 저장대의 인재양성 시스템을 청취하며, 광주의 대학들과 유사한 교류 모델을 만들겠다는 뜻을 밝혔다.

저장대는 중국판 아이비리그인 'C9 리그' 소속 명문대학으로, 딥시크의 량원펑·딥로보틱스의 주추궈·메니코어테크의 황샤오황 등 중국 '육소룡' 창업가를 배출했다. 대학 인큐베이터와 동문창업펀드를 통한 '대학 중심 창업생태계'가 항저우를 중국판 실리콘밸리로 만드는 데 핵심적 역할을 했다.

마옌밍 총장은 "한국의 음식과 문화를 좋아하고, 한국 대학과도 인연이 깊다"며 "저장대는 광주시 학생들의 학습과 교류를 적극 지원하겠다. 광주의 전략적 발전을 위해 기술과 자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현재 저장대에는 300여명의 한국 유학생이 재학 중이다.

강기정 시장은 "저장대의 사례는 AI 산업의 성패가 결국 인재에 달렸음을 보여준다"며 "광주가 다양한 전공 인재들이 융합하는 개방형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저장대와의 교류를 서둘러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광주시와 저장대는 이미 지난 8월 '광주 인공지능 한·중 청년포럼'을 열어 GIST·전남대·조선대·호남대 학생들과 저장대 연구진이 AI 기술을 교류한 바 있다.

광주시는 AI 1단계 사업을 통해 영재고·사관학교·AI융합대학·AI대학원을 잇는 인재양성 사다리를 마련해 지금까지 1만1386명의 인재를 배출했다. 앞으로 저장대와 협력해 '교양 필수 AI과목 신설' 등 공동교육과정을 검토하고, 세계적 수준의 AI 인재를 지역에 남겨 창업·성장을 이어가는 선순환 생태계 구축에 힘쓸 계획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