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이제는 이공계 전성시대'를 선언하며, 반도체·AI·모빌리티 등 첨단산업 중심의 인재 확보를 위한 핵심 전략을 발표했다.
의대 쏠림으로 흔들리는 과학·공학 인재 공급 구조를 바로잡고,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연구 환경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다.
오 서울시장은 25일 고려대학교에서 이 같은 비전을 밝히며, "이공계가 미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만큼 서울을 첨단산업 인재가 모이는 중심 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서울 소재 17개 대학 총장과 공대 학장, 학생, 연구지원사업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공계 인재를 위해 오시장이 내놓은 4대 전략은 이공계 인재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연구에 매진하고 사회적 인정 속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먼저, 학비 걱정을 없앤다. 석사 연 2천만 원, 박사 4천만 원, 박사후 과정 6천만 원까지 지원하는 '이공계 미래동행 장학금'을 신설하기로 했다.
둘째, 최장 10년간 안정적인 연구비를 지원, 단기 성과 압박에서 벗어나 도전적 연구가 가능하도록 했다.
셋째 ,이공계 인재 전용 '성장주택'을 마련해 연구·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주거 안정성을 보장하기로 했다.
넷째, '서울 과학인의 상'을 제정해 우수 연구자를 시상하고, CES 등 국제 무대 진출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이미 대학 도시계획 규제 완화, 캠퍼스타운, 청년취업사관학교 등을 통해 첨단 분야 인재 2만여 명을 양성해왔다.
규제 완화의 첫 결실은 고려대 '정운오IT교양관'으로, 이 곳엔 첨단 반도체 실험실이 들어서며 교육·연구 공간이 확충됐다.
서울시는 앞으로 이번 비전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연구계·산업계·스타트업·학생 등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정책 실행력을 높일 방침이다.
오 시장은 "서울이 글로벌 과학기술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서는 이공계 인재 육성이 필수"라며 "학비와 주거비, 연구비 부담을 덜고, 자부심을 높여 청년들이 안심하고 연구에 뛰어들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