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25일 "2024년 자살률이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상황"이라며 자살예방 정책 강화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로 사망한 사람은 총 1만4872명으로, 전년보다 894명(6.4%) 증가했다. 하루 평균 40.6명이 스스로 생을 마감한 셈이다.
자살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29.1명으로, 전년 대비 1.8명(6.6%) 증가했다. 국제 비교를 위해 산출하는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26.2명으로, OECD 평균(10.8명)의 2.4배에 달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정부는 자살 문제의 심각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해왔으며, 지난 12일에는 '2025 국가 자살 예방 전략'을 통해 중장기 정책 방향과 분야별 과제를 구체화해 발표했다.
전략의 핵심 추진 과제로는 △자살시도자에 대한 즉각적이고 긴급한 위기 개입 강화 △범부처 취약계층 지원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지자체 자살예방관 지정 및 전담조직·인력 보강 △인공지능(A)I 기반 자살상담전화 실시간 분석과 자살 유발 정보 모니터링·차단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이 전략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범부처 자살예방대책 추진본부'도 설치할 계획이다.
복지부 이상원 정신건강정책관은 "2024년 자살률이 2011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자살 문제가 심각함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국가 자살 예방 전략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예산과 인력을 확충해 자살 예방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