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2011년 이후 자살률 가장 높아…예방 정책 강화"

통계청 2024년 사망원인통계, 자살률 인구 10만 명당 29.1명
복지부 "자살 문제 심각함 엄중히 인식…예방 정책 패러다임 전환"

서울 마포대교. 연합뉴스

보건복지부는 25일 "2024년 자살률이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상황"이라며 자살예방 정책 강화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로 사망한 사람은 총 1만4872명으로, 전년보다 894명(6.4%) 증가했다. 하루 평균 40.6명이 스스로 생을 마감한 셈이다.

자살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29.1명으로, 전년 대비 1.8명(6.6%) 증가했다. 국제 비교를 위해 산출하는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26.2명으로, OECD 평균(10.8명)의 2.4배에 달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자살예방상담전화 홈페이지 캡처

정부는 자살 문제의 심각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해왔으며, 지난 12일에는 '2025 국가 자살 예방 전략'을 통해 중장기 정책 방향과 분야별 과제를 구체화해 발표했다.

전략의 핵심 추진 과제로는 △자살시도자에 대한 즉각적이고 긴급한 위기 개입 강화 △범부처 취약계층 지원기관 간 연계체계 구축 △지자체 자살예방관 지정 및 전담조직·인력 보강 △인공지능(A)I 기반 자살상담전화 실시간 분석과 자살 유발 정보 모니터링·차단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이 전략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범부처 자살예방대책 추진본부'도 설치할 계획이다.

복지부 이상원 정신건강정책관은 "2024년 자살률이 2011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자살 문제가 심각함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국가 자살 예방 전략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예산과 인력을 확충해 자살 예방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