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주민들로부터 거둔 건축 지원금이나 기부금을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로 다시 주민들에게 돌려준 이례적인 사례들을 공개했다. 김 위원장의 애민정치, 즉 인민대중제일주의를 강조하는 맥락으로 풀이된다.
북한의 노동신문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 23일 준공을 앞둔 평양종합병원을 둘러보며 지난 2020년 3월에 착공한 병원 건설이 계속 지연된 이유와 관련해 "당시 내각의 일부 지도간부들과 평양종합병원건설 연합 상무 일군들의 공명심으로 하여 산생된 경제조직 사업에서의 혼란에 기인"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그들은 국가의 재정 규율을 무시하고 병원 규모와 설계변경에 따르는 총 건설 예산도 승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멋대로 공사를 내밀어 경제적 손실을 초래했다"면서 특히 "자의대로 지원분과 형식의 기구까지 만들어놓고 전국적으로 모금과 지원 바람을 일구면서 당의 숙원 사업의 본도가 왜곡되게 만드는 심각한 정치적 문제를 발생시켰다"고 비판했다.
그는 그러면서 "부득이 우리는 지난해 12월 병원 건설에 지원금을 낸 개별적 단위와 주민들에게 자금을 전부 빠짐없이 돌려주는 특별한 조치를 별도로 취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고 밝혔다.
평양종합병원 건설을 위해 주민들로부터 지원금을 마구 걷은 뒤 문제가 돼서 이를 전부 돌려줬다는 얘기이다.
김 위원장은 쿠르스크 파병 전사자 유가족들을 위한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모든 돈도 주민들에게 돌려줄 것을 지시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파병된 해외작전부대 참전자와 그들의 유가족에게 전 사회적인 기부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고 소개한 뒤 "그들을 돌보는 것은 전적으로 당과 국가의 책임"이라며 기부 당사자들에게 돈을 돌려주고 사의를 표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힌 바 있다.
두 사례가 성격은 다르지만 주민들로부터 거둔 돈을 김 위원장의 지시로 다시 돌려준 사실을 공개해 김 위원장의 애민 리더십을 부각시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