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봄' 찍은 광양항, 영화관으로 변신…'남도영화제 시즌2' 한 달 앞

10월 23~27일…12개국 81편 영화 상영
촬영지에서 상영을, 국내 첫 시도
특수분장, 눈 내리는 광양 등 체험거리도

남도영화제 시즌2 광양 기자회견에서 (왼쪽부터) 김명덕 광양시 문화예술과장, 이혜영 영화제 사무국장, 정인화 광양시장, 박시훈 영화제 집행위원이 기념 포즈를 취하고 있다. 박사라 기자

천만 영화 '서울의 봄' 속 반란군과 진압군이 격돌했던 전남 광양항 컨테이너 부두가 이번에는 영화관으로 변신한다. 오는 10월 23일부터 27일까지 남도영화제 시즌2가 이곳에서 열린다.

24일 광양시 중마동 수산물유통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는 정인화 광양시장과 이혜형 사무국장 등이 참석해 영화제의 비전과 준비 상황을 소개했다.
영화제 사무국 제공

촬영지에서 영화 상영, 국내 첫 시도  

2023년 순천 정원에서 열린 시즌1이 자연친화적 분위기에 초점을 맞췄다면, 시즌2는 영화 촬영지와 상영 공간을 결합한 새로운 시도를 담았다.

이혜영 사무국장은 "이번 시즌2는 대한민국 최초로 영화 촬영 현장에서 그 영화를 상영하는 사례가 될 것"이라며 "시즌1에서는 영화제가 분산돼 구심점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시청 앞 광장에 '남도 영화 마을'을 마련해 중심을 잡았다"고 말했다.

영화제의 하이라이트는 광양항의 풍경을 살린 컨테이너 특별관이다. 이곳에서는 영화 상영뿐 아니라 다채로운 부대행사가 펼쳐진다.
 
영화 '서울의 봄' 촬영 비하인드 토크, 싱어송라이터 김사월 공연, 배우 겸 감독 류현경·문혜인·이정현·조은지의 대담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정인화 광양시장은 "광양은 '명량', '부산행', '극한직업', '서울의 봄', '택시 운전사' 등 천만 영화와 굵직한 작품들이 촬영된 도시"라며 "컨테이너 부두라는 상징적 공간에서 영화를 상영하는 이번 영화제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이어 "광양은 교역의 도시이자 컨테이너항을 보유한 경제 중심지지만, 이제는 이를 문화적 상징으로 삼아 문화·교육의 중심지로 발돋움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남도영화제 시즌2 광양 기자회견에서 정인화 시장과 이혜영 사무국장이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박사라 기자

스크린 밖 즐길거리…특수분장 체험, 눈 내리를 광양 등 

영화제를 찾아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체험거리도 마련된다.
 
이번 영화제의 구심점 역할을 할 시청 앞 광장' 남도 영화 마을'에서는 눈 내리는 특수효과, 포토존 '디렉터스 존', 키링 제작 체험, 어린이를 위한 특수분장 체험 등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형 콘텐츠를 만날 수 있다.
 
또한 광양에서는 눈을 보기 어렵다는 점에 착안해 눈 내리는 특수 효과를 준비했다.
 
이 사무국장은 "광양에서는 눈을 보기 어렵다는 점에 착안해 눈 내리는 특수효과를 준비했다"며 "어린이부터 가족 단위 관람객이 직접 참여해 영화 속 분위기를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영화제 사무국 제공

어떤 작품들이 상영되나… 12개국 81편 영화 

올해 남도영화제는 '광양, 빛과 철로 물들다'를 주제로 12개국 80편의 영화를 5일간 상영한다.

개막작은 정승오 감독의 '철들 무렵'으로 세대 간 돌봄과 독립, 의존의 문제를 다루며 공감을 이끌어낼 작품이다. 폐막작은 올해 칸 영화제 화제작인 엠마뉴엘 쿠르콜 감독의 '팡파르'로 작은 마을의 가족 이야기를 담아 광양과 닮은 정서를 전한다.

남도장편경쟁에는 8편, 단편경쟁에는 20편이 선정됐으며, '남도의 시선' 섹션을 통해 장·단편 15편이 소개된다. 이외에도 '남도 피크닉', '남도 스펙트럼', '광양 천만 영화 특별전', 로컬 프로그래머 2기 등 지역성과 남도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이어진다.

영화제 사무국은 이번 시즌2에 2~3만 명 관람객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2023년 순천에서 열린 시즌1에는 약 2만 명이 찾은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광양시는 영화제 기간 미디어아트국제페스티벌(22일 개막)과 숯불 불고기 축제(24일 개막)도 함께 열어, 세 행사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