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케이션(일+휴가)' 관련 온라인 키워드 살펴보니…가장 많이 언급된 지역은?

농정원, '농업·농촌과 워케이션' 주제로 온라인 데이터 분석
'일'보다는 '휴양' 관련 분야 관심 높아…'관광'과 '여행' 언급 가장 많아
지역적으로는 '제주' 압도적 비중…경북 의성, 충남 금산, 경남 남해 등 뒤이어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이 '농업·농촌과 워케이션'을 주제로 온라인 언급량과 주요 키워드 분석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농정원 제공

'일(Work)'과 '휴가(Vacation)'를 결합한 개념인 '워케이션(Workation)'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일보다는 휴양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고 지역적으로는 제주도에 대한 관심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이 '농업·농촌과 워케이션'을 주제로 뉴스나 커뮤니티, 블로그, 카페, 유튜브 등을 통한 온라인 언급량과 주요 키워드의 분석 결과를 담은 'FATI(Farm Trend&Issue)' 제24호 보고서를 발표했다.

농정원이 지난 2021년부터 최근 5년간 '농업·농촌 워케이션' 관련 온라인 데이터를 '일'과 '휴양'의 관점에서 △시설/인프라 △환경/접근성 △관광/여행 △체험/교육 △소비/축제 △테마/휴식 등 6개 분야로 나눠 언급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일'보다는 '휴양'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 온라인 언급 비중은 △'관광/여행'이 전체의 29%로 가장 높고 '테마/휴식' 26%, '체험/교육' 25% 순이었다.
 
농정원 제공

지역별 언급에서는 시설과 관광 등 대부분의 분야에서 '제주' 지역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경북 의성, 충남 금산·경남 남해·부산, 인천·충남 부여 순이었다.

또 농업·농촌 워케이션 관련 언급 키워드 분석 결과 공급자인 정부와 지자체는 워케이션을 '사업'의 관점에서, 수요자인 참여자들은 '생활 및 일상' 중심으로 각각 인식하고 있었다.

워케이션을 실제로 경험했거나 참여를 희망하는 이들은 △'힐링 및 휴가'(24%) △'숙소 및 자연'(20%) 등 휴식 중심의 요소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업무와 병행하는 체류 방식의 특성상 △'근무환경'(21%)에 대한 고려 역시 주요 관심사로 나타났다.

한편 워케이션은 지난 2021년부터 정부와 지자체 정책에 도입되며 본격적으로 언급되기 시작했다.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 위기에 직면한 농촌 지역에서는 '생활인구'와 '관광객'을 동시에 유입할 수 있는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농정원 윤동진 원장은 "워케이션은 이제 단순한 업무방식의 변화가 아니라 우리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지역 상생 모델이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