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 협상에서 개발도상국에게 부여되는 특별대우를 더 이상 요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24일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미국에서 열린 세계개발구상(GDI) 고위급 회의에서 "현재와 미래의 모든 WTO 협상에서 더 이상 새로운 특별 및 차등 대우를 추구하지 않겠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결정은 개도국 자격 남용을 공개 비판하며 WTO 개혁을 요구해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장과 관련 행정부의 포기 요구를 중국이 수용하는 수순으로 해석되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의 WTO 개도국 특혜 포기는) 무역협상에 걸림돌이 돼 왔던 미국과의 논쟁점을 해소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리창 총리는 이어 다자주의·자유무역을 수호하고 개발도상국 발전을 돕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는 한편 '자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미국과 차이를 드러내는 데 주력했다.
그는 "'디커플링'과 진영 대결은 글로벌 경제를 해치고 국제 질서를 파괴해 더 큰 리스크를 가져올 뿐"이라면서 "우리는 응당 유엔을 핵심으로 하는 국제 시스템을 수호하고 다자주의·자유무역을 견지하며 개방형 세계 경제를 구축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리 총리는 또 "최근 글로벌 남북의 발전 격차가 더 두드러졌는데, 그 배후에는 권리·기회·규칙의 불평등과 불공정이 있다"며 "일부 선진국은 개발 자금 조달 등 약속을 이행하려 하지 않고, 심지어 국제개발기구에 자금 공급을 끊어 글로벌 남북 협력을 상당한 정도로 약화시켰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특히 선진국은 의무를 이행하고 개발도상국의 수요를 더 많이 신경 써서 발전 불균형·불충분의 문제를 적극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런 언급은 '미국'을 명시적으로 거론하지는 않으면서도 최근 대외원조 조직 국제개발처(USAID)를 사실상 해체한 미국의 행태를 우회 비판하는 한편, 세계 질서를 이끌고 수호하는 국가로 중국을 내세우려는 의도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