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의 둘레길과 등산로 야자매트에서 미세 플라스틱 섬유가 다량 검출됐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 6일부터 9일까지 광주지역 산책로 7곳의 야자매트를 표본 조사한 결과 이 중 6곳에서 미세 플라스틱 섬유가 검출됐다고 24일 밝혔다.
플라스틱 섬유가 검출된 지역은 △광산구 어등산(동자봉 초입~산정약수터) △서구 금당산(원광대한방병원~남양아파트 뒤편) △남구 제석산(유안근린공원~제석산 편백숲) △북구 매곡산 편백숲·삼각산 산책로 △무등산국립공원(수만리탐방지원센터~장불재) 구간이다.
동구 무등산 다님길 4구간은 별도 성분 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래 코코넛 껍질 섬유로 만들어지는 야자매트는 친환경적이고 자연 분해가 가능하다. 미끄럼 방지 등을 위해 공원이나 산책로 등에 설치한다.
그러나 광주환경운동연합 측은 일부 제조사가 비용 절감과 내구성 향상을 이유로 합성 섬유를 혼합해서 제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만들어진 지 오래 됐거나 통행량이 많아 마모된 야자매트에서 수많은 미세 플라스틱 섬유가 노출된 것이다.
미세 플라스틱이 토양에 침투하면 미생물 활동을 저해하고 토양의 통기성과 배수성을 떨어트려 토질을 악화시킨다. 자칫 플라스틱 섬유를 지렁이와 같은 토양 동물이 섭취하면 먹이사슬 교란을 초래할 수도 있다.
환경단체는 각 지자체와 무등산국립공원 사무소에 산책로 야자매트 전수 조사를 실시하고 관리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광주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미세플라스틱 섬유가 토양에 침투해 생태계를 파괴하면 결국 인간이 다시 영향을 받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