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관리 부실로 비판받는 가운데, 경쟁사와 달리 미사용 기기에 대한 자동 차단 시스템조차 갖추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해민 의원(조국혁신당)에 따르면, KT는 통신 3사 중 펨토셀을 가장 많이 보급했지만 미사용 장비 자동 차단, 위치 급변 시 고윳값 등록 삭제 등 기본적인 관리 체계를 갖추지 않았다.
SKT와 LG유플러스가 펨토셀 미사용이 장기화하거나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면 자동 탐지해 해당 기기를 차단하고 일정 기간 후 장비 고윳값을 삭제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다는 지적이다.
이 의원은 "KT는 고객 연락에만 의존해 펨토셀 회수를 진행하고 있다. 문제는 고객과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에는 후속 조치를 전혀 하지 않는다는 점"이라며 "방치된 펨토셀이 해커의 불법 장비로 악용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KT가 기간통신사업자로서 기본적인 자질을 갖추고 있는지, 위기관리센터를 포함한 대통령실 이전 등 국가 주요 통신 인프라 사업을 수행하는 게 맞는지 의심스럽다"며 "망 관리 부실 가능성 검증과 인적 쇄신 등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