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참사 국조 마지막까지 '공방'…"봐주기"VS"음모론"[영상]

국조 핵심 청문회서 범여권, 검찰.충북도 '십자포화'
충북도 직원 집중 추궁…"위증죄 고발 검토해야"
권력 유착 의혹 제기에 야당 "팩트도 없이" 반발
"새로운 사실 드러난 게 없다" 국조 비판도

연합뉴스 제공
충북 청주 오송 지하차도 참사의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의 핵심으로 기대를 모았던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여야의 치열한 공방이 되풀이됐다.

김영환 충청북도지사의 책임론과 검찰의 봐주기 수사 의혹 등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는데, 야당은 음모론 등을 앞세워 깎아내렸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23일 본관 대회의실에서 지난 한 달 가량의 국정조사를 아우르는 핵심 일정인 청문회를 진행했다.


이번 청문회에는 김 지사와 이범석 청주시장 등 모두 25명이 증인과 참고인으로 출석했다.

범여권 의원들은 참사 직전에 행복도시건설청 직원으로부터 모두 4차례에 걸쳐 위험하다는 내용의 전화를 받고도 상부에 알리지 않은 충북도 공무원 A씨를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A씨는 당시 전화 내용이 이미 초동대응 기관인 청주시와 경찰에도 통보가 됐다고 받아들여 보고하지 않았다는 취지로 답변했지만 의원들은 거짓 증언을 하고 있다며 몰아세우기도 했다.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은 "저는 증인의 진술이 위증일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고 판단해 수사기관의 판단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위원회 차원의 위증죄 고발에 대한 검토를 양당 간사에게 요청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더불어민주당 채현일 의원은 이동옥 행정부지사가 대통령실 민정비서관 근무 당시에 검찰의 김 지사에 대한 불기소 처분을 도운 게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했다.

채 의원은 "이 부지사는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 도움으로 대통령실 민정비서관 경력을 만들었다"며 "김 지사의 무혐의를 도왔고, 다른 사람이 부지사로 내정됐던 것을 뒤집고 내란 이후 대통령실을 탈출할 수 있었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국정조사에서 거듭 제기됐던 참사 당시 도청 직원의 상황 대처와 검찰의 수사 결과에 대한 공세를 통해 추가 수사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나선 것이다.

연합뉴스 제공
반면 야당 의원들은 '팩트 확인도 없는 음모론'이라거나 단순 추정에 의한 의혹 제기 수준이라고 강하게 맞섰다.

국민의힘 서범수 의원은 채 의원의 의혹 제기에 대해 "또 이 자리에서 음모론을 얘기한다"며 "제보만으로 팩트 확인도 없이 국회석상에서 얘기를 해도 되는지 생각이 든다"고 직격했다. 

같은 당 주호영 의원도 "검찰이 최종 수사 결론을 내릴 때와 이후 이번 국정조사로 새로운 사실이 드러난 게 있느냐"고 따져 묻기도 했다.  

그러면서 "단체장에게 추상적인 의무 위반까지 책임을 묻는다면 충북도 뿐만 아니라 중앙재해대책본부장인 행정안전부 장관과 더 나아가 국무총리, 대통령까지도 과실의 범위를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번 청문회 과정에서도 증인의 답변 태도나 진행 과정 등을 두고 위원장과 의원, 증인 간의 고성이 수 차례 이어졌다.

국회 행안위는 이날 청문회 결과 등을 종합해 오는 25일 결과보고서를 채택하는 것으로 한 달 동안의 국정조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