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6월 출범후 8월말까지의 특수활동비, 업무추진비, 특정업무경비 등 주요 국정운영경비에 대한 집행정보를 역대 정부 최초로 23일 공개했다.
특수활동비는 기밀 유지가 요구되는 외교, 안보 등 국정수행 활동에 직접 소요되는 경비다. 그간 집행정보가 외부에 알려지지 않아 여러 의혹들이 제기되곤 했다.
이날 공개된 내역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의 대통령실이 6월 출범후 8월까지 3개월간 집행한 특수활동비는 4억 6422만 6천원이다.
△외교·안보·정책 네트워크 구축 및 관리 1억 5802만 5천원 △민심·여론 청취 및 갈등 조정·관리 9845만 2천원 △국정현안·공직비위·인사 등 정보 수집 및 관리 9700만 8천원 △국민고통 위로 및 취약계층 등 격려 5220만원 △국가 정체성 및 상징성 강화 5854만 1천원 등이다.
같은 기간 업무추진비는 9억 7838만 1421원이 집행됐다. △국정 현안 관련 대민·대유관기간 간담회 등 2억 7990만 4781원 △국내외 주요 인사 초청 행사비 등 3억 5375만 3460원 △기념품·명절선물·경조화환 구매비 등 3억 4472만 3180원이 집행됐다.
특정업무경비는 해당 기간 1914만 1980원 집행됐다. 수사·감사·예산·조사 업무에 279만 6580원, 특정업무 상시 수행에 1634만 5400원이 각각 집행됐다.
대통령실은 "특수활동비는 기밀성이 본질인 만큼 대외 공개에 한계점이 존재한다"면서 "그간의 법원 판결을 존중하고, 국민의 귀중한 세금을 올바르게 집행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기 위해 집행정보 공개를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업무추진비 경우 그간 유형별 집행 금액과 집행 사례만 공개됐지만, 이재명 정부는 예산집행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일자별 집행 내역까지 공개했다. 특정업무경비 역시 집행내역을 공개하긴 처음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앞으로도 관련 정보를 정기적으로 공개할 계획"이라며 "다만 국가안전보장 등 고도의 기밀을 다루는 대통령실의 업무 특수성을 고려해 일부 사항은 부득이 비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