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교원의 현장체험학습 인솔 부담을 덜고 학생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2학기 현장체험학습 보조인력을 지원한다고 23일 밝혔다.
도교육청은 2학기 현장체험학습 수요조사 결과를 반영해 신청 학교에 보조인력을 지원하고 있다. 실제 배치는 시·군 교육지원청이 맡고 있다.
보조인력은 버스 승·하차 지도와 도보 이동 시 안전 확보, 사고 발생 시 신속 대응 등 다양한 현장 안전 지원을 담당한다. 도교육청은 퇴직공무원 742명을 중심으로 보조인력을 구성했다.
또 경찰과 소방, 교원 출신 등 308명은 안전요원으로 등록돼 개별 안전교육을 받는다. 나머지 434명은 도교육청 주관 기본 안전교육을 이수한 뒤 기타 보조인력으로 활동한다.
현재 기타 보조인력 교육은 대한적십자사 전북지사에 위탁해 진행 중이다. 교육 과정에는 △현장체험학습의 이해와 역할 △심폐소생술(CPR)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 △기도폐쇄 응급대처 등이 포함된다.
도교육청은 인력풀 구축 이후 3차 수요조사를 실시해 연내 운영되는 1일형 현장체험학습에 기타 보조인력 활동비를 추가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학교 수요에 맞춘 탄력적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예산 집행 효율성도 높인다는 방침이다.
유정기 교육감 권한대행은 "퇴직공무원 인적 자원을 적극 활용해 안전한 현장체험학습을 지원하고 교원의 부담을 줄여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