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5일 결과보고서 채택을 끝으로 한 달 동안의 공식 활동을 마무리하는 오송참사 국정조사가 막바지로 향하고 있다.
그동안의 활동을 아우르는 23일 청문회가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여부를 최종적으로 가를 결정적 시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22일 충청북도 등에 따르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23일 오전 10시부터 본관 대회의실에서 오송참사 국정조사 청문회를 진행한다.
이번 청문회에는 김영환 충청북도지사와 이범석 청주시장,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 23명의 증인을 비롯해 5명의 참고인 등 모두 28명이 출석할 예정이다.
범여권은 그동안 진행된 기관보고와 현장 조사 등을 통해 제기됐던 '검찰의 봐주기 수사' 의혹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충북도 이동옥 행정부지사와 전 재난 담당 공무원 A씨도 새로운 증인으로 채택했다.
이 부지사는 오송참사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던 지난해 5월 대통령실 민정비서관에 임명됐고 검찰의 김 지사에 대한 불기소 처분이 확정된 뒤 두 달이 경과한 올해 3월 행정부지사로 자리를 옮겼다.
민정비서관은 사정기관과 긴밀한 관계가 있는 만큼 관련성을 따져 보겠다는 것이다.
또 A씨는 참사 직전에 행복도시건설청으로부터 모두 4차례 위험 신고를 받았다고 알려진 인물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국회의원(청주 흥덕)은 지난 기관보고 때 "충북도가 참사 직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의 긴급 대피 요청을 4차례나 묵살했으나 검찰은 접수를 누락한 당사자를 특정도 하지 않았다"며 "결국 특정인을 봐주기 위해 엉터리 수사를 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야당 의원들은 김 지사에 대한 기소 압박이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어 다시 한번 출동을 예고하고 있다.
국민의힘 주호영 의원은 "국회법에 수사 중이거나 재판 중인 사건에 관여할 목적으로 국정조사를 할 수 없게 돼 있다"며 "동료 의원들의 발언 내용 등을 보면 마치 한 사람을 기소하라고 압력을 넣는 국정조사 같다"고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범여권은 이번 청문회에 이어 최종 단계인 오는 25일 결과보고서 채택 과정에서 추가 수사 요청과 함께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일부에서는 특검과 국정조사 기간 연장 등에 대한 필요성도 언급되고 있는데,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지역 정치권의 판단이다.
민주당 이광희 의원(청주 서원)은 "지금까지 진행된 국정조사만으로도 검찰의 추가 수사는 불가피하다"며 "검찰 수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특검까지 진행해야 한다는 쪽으로 의견을 모아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