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비핵화는 있을 수 없다'고 밝힌 것을 두고 북한의 최대 우방인 중국은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은 채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각국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원론적인 언급만 내놨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2일 정례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의 발언에 관한 질의에 "중국은 조선반도(한반도) 형세의 발전·변화에 주목했다"며 "반도의 평화·안정을 수호하고 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프로세스를 추동하는 것은 각국의 공동 이익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궈 대변인은 "당사국(有關方)이 반도 문제의 핵심(症結)과 근원을 직시하고 정치적 해결이라는 큰 방향을 견지하기를 희망한다"며 "긴장된 형세의 완화와 지역 평화·안정 수호를 위해 노력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어떤 국가, 혹은 국가들을 특정하지 않은 채 '당사국'이라는 표현을 씀으로써 현재 한반도 정세 경색의 책임 범위를 한국·미국 등으로까지 넓힌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중국은 그간 북한의 미사일 도발 등이 있을 때 한반도 당사국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반복해왔다.
앞서 김 위원장은 전날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열린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3차 회의에서 '핵 보유'가 이미 헌법에 명기됐다며 "단언하건대 우리에게는 '비핵화'라는 것은 절대로, 절대로 있을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이어 "핵을 포기시키고 무장해제시킨 다음 미국이 무슨 일을 하는가에 대해서는 세상이 이미 잘 알고 있다"며 "제재 풀기에 집착하여 적수국들과 그 무엇을 맞바꾸는 것과 같은 협상 따위는 없을 것이며 앞으로도 영원히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