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1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개인적 친분을 언급하며 미국의 비핵화 포기와 현실인정을 토대로 "우리와의 진정한 평화공존을 바란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의 '3단계 비핵화론'에 대해서는 '우리의 무장해제를 꿈꾸는 전임자들의 복사판'이라고 비난하며 "일체 상대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한다"고 말했다.
북한의 노동당기관지 노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열린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3차 회의 연설을 통해 이런 내용의 "공화국 정부의 원칙적인 대미, 대한 입장을 천명"했다고 22일 보도했다.
"공화국 정부의 원칙적인 대미·대한 입장 천명"
김 위원장은 연설에서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는 핵 억제력의 "제2의 사명이 가동되면 한국과 주변지역 그의 동맹국들의 군사조직 및 하부구조는 삽시에 붕괴 될 것이며 이는 곧 괴멸을 의미 한다"고 위협한 뒤 "나는 이런 위험한 사태발전을 절대로 원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그러면서 "만약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데 기초하여 우리와의 진정한 평화공존을 바란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며 "나는 아직도 개인적으로는 현 미국대통령 트럼프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그러나 "이 기회에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보다 분명히 하고자 한다"며 "우리는 한국과 마주앉을 일이 없으며 그 무엇도 함께 하지 않을 것"이고 "일체 상대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가 이전 정권들과의 차별화를 위해 우리에 대해 그 무슨 '관계개선'이요 '평화'요 하면서 '융화노선'을 제창하고 있는데 본질상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한미연합훈련 실시와 내년도 국방예산안 8.2% 증가 등을 거론했다.
김 위원장은 특히 "현 집권자의 이른바 '중단-축소-비핵화'라는 '3단계 비핵화론' 역시 우리의 무장해제를 꿈꾸던 전임자들의 '숙제장'에서 옮겨 베껴온 복사판에 지나지 않는다"며 "이런 적대국과 통일을 논한다는 것은 완전한 집착과 집념의 표현일 뿐이며 그렇게 고집한다고 해서 현실적으로 달라질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李 정부에 선 긋고 美와는 대화 여지 시사
김 위원장은 "대한민국은 모든 분야가 미국화된 반신불수의 기형체, 식민지속국이며 철저히 이질화된 타국"이라면서 "철저히 이질화되었을 뿐 아니라 완전히 상극인 두 실체의 통일이란 결국 하나가 없어지지 않고서는 성립될 수 없는 것"이라고 강변했다.김 위원장은 이어 "우리는 명백히 우리와 한국이 국경을 사이에 둔 이질적이며 결코 하나가 될수 없는 두개 국가임을 국법으로 고착시킬 것"이라며 '적대적 2국가'를 반영하는 추가적인 헌법 개정을 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김 위원장의 발언은 이재명 정부와의 대화에는 분명한 선을 긋되 미국과는 비핵화 포기와 핵 보유 현실의 인정을 토대로 대화를 할 수 있음을 강조한 것으로 요약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달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하는 만큼 이 때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와 대북 메시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