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비자정책 불확실성에 美 기업들도 '혼란'

H-1B 비자 신청 수수료 대폭 인상 깜짝 발표에
MS·구글 등 즉각적인 대응책 마련하느라 '진땀'
美 정부, 뒤늦게 '일회성 수수료'라며 수습 나섰지만
정책 불확실성 커지면서 불안 지속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전문직 비자로 불리는 H-1B 비자 신청 수수료를 현행 1천달러에서 10만달러(약 1억 4천만 원)으로 대폭 올리겠다고 깜짝 발표하면서 미국의 다수 기업들이 분주하게 대책을 마련하느라 혼란을 겪었다.
 
이를 연간 단위 수수료라고 밝혔던 미 정부는 뒤늦게 신규 비자 신청자에만 인상 수수료가 적용된다고 말을 바꿨지만, 그 사이 현지 기업들은 즉각적인 대응을 하느라 진을 뺐다. H-1B 비자는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분야의 전문 직종에 적용되는 비자다. 미 정부의 새 수수료 규정은 미국 동부시간으로 21일 0시 1분(한국시간 21일 오후 1시 1분)부터 발효됐다.
 
전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지난 19일 미국 정부가 H-1B 비자 신청 수수료를 10만달러로 인상한다고 발표하자 마이크로소프트(MS)는 "H-1B 비자를 소지하고 미국에 체류 중인 경우 당분간 미국에 머물러야 한다"고 직원들에게 공지했다.
 
구글 등 다른 기업들과 JP모건 등 미국 금융사들도 H-1B 비자 보유자들에게 미국을 떠나지 말 것을 권고하고 해외 체류 중인 직원들에게는 즉각 미국으로 돌아오라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19일 발표된 H-1B 비자 신청 수수료 인상과 관련해 "연간 단위"라고 밝혔고, 이는 매년 10만달러를 내야 비자 갱신이 가능하다는 뜻으로 해석돼 기업들이 이 같은 어려움을 겪었다.
 
로펌 피셔필립스의 이민법 변호사 섀넌 R. 스티븐슨은 종일 전화와 이메일 등을 받았다며 새로운 비자 수수료 규정과 관련해 "이번 발표는 아무런 예고도 없이 이뤄졌다. 매우 충격적"이라고 WSJ에 말했다.
 
혼란이 지속되자 캐롤라인 레빗 미 백악관 대변인은 20일 해당 비자 신청 수수료는 신규 신청자에게만 적용되는 일회성 수수료이고, 기존 소지자가 입국할 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며 수습에 나섰다.
 
이 같이 정책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미국 기업의 상당수 외국인 직원들은 외국 여행을 보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스티븐슨 변호사도 "이번 수수료 인상 발표는 H-1B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 공격의 첫 단계일 뿐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