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평화박물관서 9.19합의 복원 세미나…"평화가 경제"

9.19 군사합의 7주년 맞아 실무 주역들 모여 재평가
"특별한 희생을 해온 접경 주민들 안정된 삶 보장해야"
"중단된 남북 소통 재개하는 노력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더불어민주당 속초·인제·고성·양양 지역위원회 제공

더불어민주당 속초·인제·고성·양양 지역위원회(위원장 김도균)는 19일 오후 9.19 남북군사합의 체결 7주년을 기념해 동해안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의 'DMZ 평화박물관'에서 '9.19 군사합의 복원 및 평화 결의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는 9.19 군사합의의 실무 주역인 김도균 예비역 중장(전 남북장성급군사회담 수석대표)과 조용근 예비역 준장(전 남북군사실무회담 수석대표), 이상철 예비역 준장(전 청와대 NSC 1차장) 등이 참석했다.
 
조용근 전 수석대표는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상태를 만들고 평화가 일상화된 국민들의 삶을 영위하기 위한 최우선 조치중 하나가 남북간 접경지역일대에서의 상호 적대행위를 전면 중단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 수십년 동안 대한민국의 안보를 위해 특별한 희생을 해온 접경지역 주민들의 안정된 삶을 보장하고, 위기에 처한 지역민생을 회복하기 위해서라도 '평화가 경제'이고 '평화가 밥'이라는 대전제를 접경지역일대에 실질적으로 정착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철 전 차장은 "역사적인 9.19 군사합의가 벌써 7주년이 됐지만 안타깝게도 현재 남북한 상황은 합의 체결 이전 상태로 돌아갔다"면서 "빠른 시간 내에 9.19 군사합의를 복원해 한반도의 평화를 만드는 노력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정토론자로 나선 박창식 전 국방홍보원장은 "윤석열 정권 출범 이후 완전히 중단됐던 남북 간 소통창구를 조기에 개통하고 대화채널을 정상적으로 가동시키는 노력을 좀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도균 전 수석대표는 "9.19 군사합의는 정전협정 정신을 구현하고 대한민국 역대 정부들이 그동안 추진했던 평화정착 노력을 현실적으로 접목해 접경지역에서의 상호 적대행위를 중지하기 위한 실효적 조치를 어려운 협상 과정을 거쳐 남북 양정상이 보증하는 방식으로 합의한 최초의 사례였다"고 평가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