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새 정부의 인공지능(AI) 산업 활성화 기조에 맞춰 시민들의 실생활에 직접 연계되는 AI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 대전환'을 꾀한다.
18일 이남주 인천시 미래산업국장은 기자회견을 열어 "중앙정부가 AI와 에너지를 강조하며 관련 산업 육성에 힘을 주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핵심은 피지컬AI 생태계 구축이다. 피지컬AI는 자율주행차나 로봇, 가전제품 등에 AI 기능을 접목해 실제 물리적인 공간과 상황을 인식하고 복잡한 행동을 수행하는 미래 인공지능 기술이다.
이 국장은 "여러 분산된 장비들에 들어가는 인공지능 활용 산업을 육성하는 데 주력하려는 것"이라며 "단순히 일부 기업에만 해당되는 사안이 아니라, 일반 시민 모두의 삶을 변화시키는 요소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그간 유정복 인천시장이 시민 일상을 개선하는 '생활밀착형 행정'을 앞세워온 점을 감안하면, 유 시장의 정책 철학을 AI 산업정책에 녹여내기 위한 취지로 읽힌다.
이와 관련해 인천시는 정부의 각종 AI 관련 공모사업에 적극 참여해 국가 예산 확보에 나서는가 하면, 다음 달에는 '인천 AI 얼라이언스(산·학·연·관) 협의체'도 꾸리기로 했다.
이남주 국장은 "미래기술의 진화 속도에 뒤처지지 않도록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