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공작'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국군정보사령부(정보사)가 주몽골한국대사관 측 협조를 받아 공작을 벌인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을 포착해 수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에 파견된 정보사 요원들이 몽골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해 대사관 인력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정황이다.
이는 '정보망 개척을 위한 정상 작전'이라는 정보사 측 진술과 다소 배치되는 측면이 있다. 정보망 개척이 목적이었다면 왜 몽골 전문가를 선별해 파견하지 않았냐는 것이다. 특검은 실제 작전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정보사 측 진술의 진위를 검증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17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내란특검은 최근 복수의 군 안팎 인사들을 조사하며 이 같은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정보사 영관급 요원 2명이 지난해 11월 하순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주몽골북한대사관 측과 접촉하려 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이다.
지금까지 특검 조사를 받은 복수의 정보사 관계자들은 '휴민트(HUMINT) 구축을 위한 정상 작전이었다' '현지 정보원 등 기존 정보망을 인수인계받기 위해 방문한 것'이라며 의혹을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단독]특검, '몽골공작은 정상 정보작전' 진술 확보…진위 여부 수사) (관련기사: [단독]'몽골 공작' 정보사 "현지 정보원이 겁먹고 신고" 진술)
그런데 당시 파견된 이들은 몽골어를 하지 못하는 등 몽골 관련 전문성이 충분하지 않은 요원이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주몽골한국대사관에 국방무관 자격으로 파견돼 있던 A대령과 행정 직원 B씨가 정보사 요원들에게 도움을 줬다는 증언이 나왔다.
A대령 역시 정보사 출신으로 그는 지난 2022년부터 올해 7월까지 주몽골한국대사관에 근무한 뒤 복귀했다. B씨도 과거 정보사에 근무한 이력이 있는 예비역 군인으로 2015년부터 대사관에서 일했다고 한다.
정보사 요원들은 A대령이 사용하던 차량을 타고 이동하거나 몽골 현지 사정에 밝고 몽골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B씨 도움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법조계에선 정보사가 비상계엄 선포 명분을 만들기 위해 급하게 요원들을 몽골에 보낸 뒤 A대령 등의 도움을 받은 것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다만 정보사는 A대령에게 공작 관련 임무를 수행하도록 지시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정보사는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실에 제출한 답변서를 통해 "사령부에서 별도 임무를 부여한 사실이 없다"고 설명했다.
특검은 이 같은 정황을 토대로 지금까지의 정보사 측 진술이 사실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있다. 특검은 최근 정보사 공작 요원들을 지휘했던 인사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정보사 측 진술을 제시하며 사실관계를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특검은 A대령과 B씨를 상대로 당시 정보사로부터 어떤 요청을 받았는지, 북측과 접촉하기 위한 업무를 수행한 사실이 있는지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