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엔에이(DNA) 정보를 활용한 유전체 선발 기술을 국내 젖소 유전능력평가에 적용해 능력이 우수한 젖소를 기존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게 됐다.
농촌진흥청은 젖소 부모·선조의 혈통 정보와 우유 생산기록을 토대로 평가하던 기존 방식에 DNA 분석 결과를 반영하는 새로운 국가단위 유전체 유전능력평가 체계를 완성했다고 17일 밝혔다.
젖소 개량은 국민에게 품질 좋은 우유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낙농가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다. 국립축산과학원은 가축개량총괄기관으로, 젖소 국가단위 유전능력평가를 수행하며 산유량이 많고 품질 좋은 우유를 생산하는 유전능력을 가진 씨수소를 선발, 개량하고 있다.
젖소 유전능력평가는 기록이 쌓일수록 정확도가 높은데 기존 평가 방식에서는 송아지의 혈통 자료만을 채택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낮을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농림축산식품부와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 한국종축개량협회와 협력해 2만 4천여 두의 유전체 자료를 수집·검증해 유전체 유전능력평가를 개발하게 됐다. DNA 품질검사와 부모-자식 간 정보 일치 여부 확인 등 다양한 검증을 거쳐 신뢰성도 확보했다.
이로써 혈통·생산기록에 더해 개체별 DNA 정보에 기반한 평가, 분석을 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한 예측이 가능해져 어린 송아지의 유전능력평가 정확도가 기존 25%에서 60%로, 평균 35%포인트 향상되는 성과를 거뒀다.
또 씨수소 선발에 유전체 평가를 적용하면 송아지 단계에서 능력을 예측할 수 있어 1.5년 안에 선발이 가능하다. 이는 평균 5.5년이 걸리던 선발 기간을 대폭 줄여 세대 간격을 단축하고 젖소 개량 속도를 높이는 효과를 낸다.
낙농가 입장에서도 암송아지의 유전체 능력을 조기에 평가하면 우수한 개체는 맞춤형 씨수소와 교배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능력이 떨어지는 개체는 이른 시기에 판매해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는 효과도 볼 수 있다.
실제로 암소가 우유 생산 능력을 갖추고 실제 우유를 생산하기까지 약 3년이 걸리며 이 기간 사육비는 1768만 원이 드는데 반해 같은 기간 우유 판매 수입은 1187만 원에 그쳐 마리당 581만 원의 손실이 발생한다. 유전체 유전능력평가를 활용해 송아지 시기에 유전능력을 정확히 평가하면 이러한 손실을 미리 차단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와 협력해 농가 서비스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낙농가가 분석을 신청하면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가 유전체 분석 후 유전체 자료를 국립축산과학원에 전달하고 국립축산과학원은 유전체 유전능력을 추정해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를 통해 낙농가에 제공한다.
농촌진흥청은 유전체 유전능력평가가 국가 개량 체계를 혁신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앞으로도 유전체 자료 수집 규모를 연간 1천두에서 3천두로 확대해 평가 정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김진형 부장은 "한우에 이어 젖소에서도 우수 종축을 조기에 선발할 수 있는 유전체 선발 기술을 적용할 수 있게 됐다"며 "국립축산과학원은 국가대표 축산 연구기관으로 씨수소 개량 체계 개선과 낙농가 현장 활용 확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