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진주 동부 지역에서 최대 규모의 가야 봉토분이 확인됐다.
경상남도는 국가유산청과 역사문화권 중요 유적 발굴조사 사업의 하나로 진행된 진주 원당고분군 M2호분 발굴 성과를 공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고분은 지름 13.4~15.2m, 높이가 1.2~4.2m에 달하는 대형 석실 봉토분이다. 매장 주체부는 중앙연도식 횡혈식 석실 구조다.
특히, 봉분의 축조 과정에서 토대(土臺)와 매장 주체부를 보호하고 봉분을 성토하기 위해 쌓은 흙둑인 토제(土堤)의 구조가 확인됨에 따라 아라가야 고분군과 유사한 축조 기술을 공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량의 점토덩어리를 활용해 지반을 강화하고 상·하부의 성토를 뚜렷하게 구분해 축조한 점이 특징이다.
또, 현재까지 조사된 가야고분군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인 개석(蓋石)이 발견됐다. 길이 290㎝, 너비 208㎝, 두께 30㎝에 이르는 이 개석은 당시 장례와 축조 방식의 위상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고배(高杯)·기대(器臺) 등의 토기류와 함께 축소 모형 철기, 관고리, 금동제 대장식구가 출토됐다. 특히, 금동제 대장식구는 백제 사비기의 양식적 특징을 지니고 있어 부여 능산리와 남해 남치리 고분군 출토품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며 당시 가야와 백제 간 교류 관계를 실증하는 자료로 주목된다.
원당고분군이 남해안과 남강 유역을 잇는 내륙 교통로의 요충지에 위치해 소가야·인근 정치체가 전략적으로 장악한 공간임을 보여준다. 출토 유물을 보면 소가야뿐만 아니라 대가야·신라·백제 등 다양한 세력과의 교류 흔적을 담고 있어 6세기 중엽 가야가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증명한다.
경남도 박일동 문화체육국장은 "진주 원당고분군 발굴 성과는 가야사의 복원과 동아시아 교류 연구에 있어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면서 "국가유산청과 협력해 도내 중요 유적의 발굴·정비와 국가유산 승격, 활용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