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하철 노사가 임금 인상과 인력 충원 등을 두고 막판 협상을 벌인 끝에 극적으로 합의안을 도출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부산지하철노조와 부산교통공사는 16일 오후 9시쯤 금정구 노포차량기지에서 진행된 단체협상 최종교섭에서 임금 3% 인상안을 포함한 핵심 쟁점 등에 대해 잠정 합의를 이뤘다.
부산지하철 노사는 이번 협상에서 기존 사측이 제시한 임금 총액 3% 인상에 합의했다. 대신 노조에서 요구한 대로 통상임금 판례 변경에 따른 연간 법정수당 증가분 전액 67억 원 상당을 다음 달 말까지 별도 지급하기로 했다.
양산선 연장 등에 따른 인력 충원은 재정 여건과 지자체와의 협의가 필요한 점 등을 이유로 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안전운행 방안 마련을 위해 노사공동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이밖에 4조 2교대 8일 주기 시행을 위한 논의도 노사 협의체를 꾸려 진행하기로 했다.
앞서 노사는 임금 인상과 인력 충원 등 문제를 놓고 이견을 빚어왔다. 노조는 임금 5.9% 인상과 인력 증원, 4조 2교대 8일 주기 시범 실시 등을 요구했다. 하지만 공사 측은 임금 3% 인상을 고수했고 인력 충원에 대해서는 재정 여건 등 문제로 어렵다고 맞섰다.
노사는 이날 오후 3시부터 6시간이 넘는 마라톤 협상 끝에 잠정 합의서를 작성했다. 이 과정에서 부산교통공사 사장 불참 문제 등을 놓고 협상 진행이 지연되기도 했다.
부산지하철노조 관계자는 "올 한 해 무탈하게 지나가서 참으로 기쁘다. 노사 이견이 있는 것은 각종 협의회와 내년 교섭에서 또 요구하고 협의하겠다"라고 말했다. 부산교통공사 관계자도 "늦은 시간까지 협의를 이어간 끝에 노사 간 잠정 합의를 이뤄 기쁘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비슷한 시각 부산교통공사 자회사 부산도시철도운영서비스 노사도 처우 개선 문제를 놓고 최종 교섭을 벌인 끝에 인력 추가 채용을 통한 주5일제를 도입하기로 잠정 합의했다.
노조는 노동강도 상승 없는 주5일제 도입을 위해 사측과 인력 51명을 추가 채용하기로 협의했다. 이를 위해 자회사는 내년 예산에 인력 채용을 위한 재원이 반영되도록 모회사인 공사 측에 적극 요구하기로 했다.
또 오는 11월부터 노사 합동 TF(태스크포스)를 꾸려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인력 부족 문제나 기계 도입 문제 등에 함께 대응하기로 했다. 이에 청소·경비·콜센터 등 필수 업무 차질 우려도 줄어들게 됐다.
당초 노조는 주6일 근무와 야간 연속 근무로 인한 극심한 피로를 호소하며 192명 추가 채용을 통한 주5일제 도입을 요구해왔다. 반면 자회사 측은 부족한 용역비를 이유로 난색을 표해왔다.
노사가 잠정 합의안을 도출하면서 노조가 17일로 예고했던 파업도 철회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