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화산업개편' 여수산단 물밑 논의…정부 유인책 촉각

LG화학-GS칼텍스, NCC 통폐합 논의…여천NCC 설비 통합 전망도
정치권·산업계 "구조조정 뒷받침할 특별법 조속히 제정해야"
정부 직접 개입보다 핀셋 지원 필요하다는 의견도

여수산단 전경. 전남도 제공

정부가 생산설비 감축을 조건으로 석유화학산업에 대한 구조 개편안을 밝힌 가운데 전남 여수국가산업단지에서도 나프타 분해시설(NCC) 통폐합을 위한 움직임이 감지된다.
 
기업들이 물밑 논의를 진행하는 가운데 구조 개편을 뒷받침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견과 함께 정부의 유인책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16일 여수산단 입주기업 등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석유화학 업계 간 구조 개편 협약 이후 정유사를 중심으로 NCC 통합 제안이 오가고 있다.
 
'선 자구 노력, 후 정부 지원'을 원칙으로 하는 정부의 구조 개편안에 따라 최대 370만t 규모의 NCC를 감축해야 하며 이중 여수산단에서만 100만t 이상을 줄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여수산단에서는 GS칼텍스를 중심으로 롯데케미칼과 LG화학, 여천NCC 간 논의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석유화학 기업이 원유를 다루는 정유사와 손을 잡으면 원재료인 나프타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물론 NCC 생산능력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들 기업 4곳은 연말까지 감축 계획안을 제출해야 하는 입장으로, LG화학은 최근 GS칼텍스를 향해 여수NCC 2공장을 매각하고 합작사를 설립해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 여수국가산업단지 여천NCC 3공장 일대. 유대용 기자

각각 국내 에틸렌 생산능력 2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는 롯데케미칼과 여천NCC 간에는 설비 통합 전망이 제기된다.
 
다만, 한화솔루션과 DL케미칼이 여천NCC의 지분을 절반씩 갖고 있어 합작사 간 의사 결정에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구조 개편의 밑그림이 그려지기 위해서는 정부의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구조 개편을 뒷받침하기 위해 자산 통합 과정에서의 세제 부담을 줄이거나 공정거래법상 기업결합 심사의 한시적 완화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정치권에서는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 중이다.
 
최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석유화학산업 특별법 제정을 위한 국회 공청회에서 석유화학산업과 관련한 국회 차원의 입법 논의가 이뤄진 것을 비롯, 여수상공회의소를 비롯한 지역 산업계에서도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별법 제정과는 별개로, 정부가 기업 간 빅딜에 당장 나서기보다는 통폐합 여파에 신중히 대비해야 한다는 시각도 눈에 띈다.
 
전남연구원 오병기 경제산업연구실장은 "1997년 IMF 사태와 같이 국가가 전체적으로 위기 국면에 있을 때는 정부가 기업 간 인수합병이나 구조조정에 개입했던 사례가 있지만 상황이 다른 만큼 지금은 섣불리 나서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며 "빅딜 과정에서 파생되는 지역 협력업체나 중소기업들의 고충, 고용불안과 경영상 어려움에 대해서도 정부가 면밀히 판단해 핀셋 지원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