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AI 활용률 70%·재생에너지 대전환…"진짜 성장 이룬다"

국무회의서 123대 국정과제 확정…산업부, 7개 과제 추진에 "역량 집중"
반도체·車 산업 업그레이드…바이오헬스 수출 35%↑·수출 1조원 시대 달성

연합뉴스

정부가 AI(인공지능)와 팩토리, 휴머노이드 등 산업AI로 제조업 기반을 강화하고 반도체 등 주력 산업 혁신을 통해 세계 4대 제조 강국 실현에 나선다.

경제성장 대동맥으로 불리는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을 서두르고, 국익을 앞세운 통상정책으로 '수출 1조달러 시대'를 준비한다는 복안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확정한 123대 국정과제 중 7개 과제를 산업부 주관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산업부 주관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하고,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 창출을 위해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국정과제에서 첨단 산업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미래 신성장 동력 발굴에 나선다.

AI 팩토리, 휴머노이드 등 AI 확산으로 제조업을 혁신해 2030년까지 산업AI 활용률 70%를 달성하고, 바이오 파운드리 구축과 첨단 의료기기 상용화로 바이오·헬스 분야 수출을 35% 이상 확대한다는 목표도 내걸었다.

2030년까지 드론, 도심항공교통(UAM) 분야의 핵심부품 국산화율을 70%까지 끌어올리고,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등 핵심기술 개발로 방산 강국으로 도약하는 기반을 닦겠다는 각오다.

반도체 등 전략산업을 한차원 업그레이드해 세계를 선도하는 4대 제조 강국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도 재확인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반도체 수출 1700억달러 달성, 자동차 글로벌 생산 5강 진입, 이차전지 글로벌 시장점유율 25% 달성 등의 목표를 이루겠다고 산업부는 강조했다.

반도체의 경우 제품 탑재형 AI반도체 및 초격차 HBM(고대역폭 메모리) 등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자동차는 친환경차·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혁신에 힘을 모은다는 방침이다.

산업의 기반인 소부장 산업 경쟁력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투자 보조금, 생산 보조금, 대체기술 개발 등 지원으로 핵심 광물의 국내 생산을 확대하고 뿌리산업 혁신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대통령 공약 사항인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시점은 최대한 앞당긴다. 2040년대에는 전국 주요 산업 거점과 재생에너지를 잇는 한반도 U자형 전력망을 완성해 산업 발전 기반을 놓는다는 복안이다.

특히 전력망 조기 건설을 위해 민간 건설 역량을 활용하고, 계통 안정성·효율성을 위한 전력망 운영·관리 체계 개선에 나선다.

산업부 관계자는 "한전이 분리 발주하고 있는 전력망 건설 공사의 설계부터 준공까지 공정 전체를 턴키(일괄생산) 방식으로 민간 건설사에 맡기면 공기 단축을 통해 전력망이 조기 구축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에너지 대전환을 이루고, 탄소중립을 위해 경제구조를 개혁하는 과제도 산업부 중심으로 추진된다.

이를 위해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한 전략과 수단을 전면 개편하고, 해외 탄소 규제에 적극 대응해 기업을 지원하고 국내 관련 시장 창출에 기여할 방침이다.

2차 공공기관 이전 등 균형성장 거점을 육성하기 위한 절차를 신속히 추진하고, 지역 정주 여건 개선에 나선다.

특히 새만금은 수상 태양광 1·2단계 개발과 풍력 발전 신규 도입으로 RE100 산단으로 조성해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재생에너지 허브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관계부처, 지자체, 민간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국정과제 실행력을 높이고 성과를 주기적으로 점검·공개해 산업 현장과 국민 생활 속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