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장애인 공공 일자리를 대폭 늘리고 전국 최초로 암 조기 검진을 지원하는 등의 '장애인 활력'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했다.
현재 서울시에는 등록 장애인 38만 5천 명이 거주중이다. 장애인의 85%는 만성질환을 앓고 있으며, 74%는 가족 돌봄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총 2조원이 투입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이들 장애인들의 일자리·주거·이동권·인권 4대 분야 향상을 위해 12개 과제를 진행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우선 장애인 공공 일자리는 연간 5천개에서 2030년 1만2천개로 확대된다. 발달장애인·뇌병변인 등 중증 특화 직업학교가 신설되고, 기술교육원에도 장애인 맞춤 과정이 생긴다. 저소득층에는 월 8만원 '서울형 부가급여'가 지원되고, 개인이 직접 예산을 선택해 쓸 수 있는 '서울형 개인 예산제'도 대상을 대폭 늘린다.
주거와 돌봄도 강화된다. 최대 20년 거주 가능한 지원주택을 500가구까지 확대하고, 장애인 공동생활가정은 250곳으로 늘린다. 중증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65세 이상 부모에게는 매월 30만원을 지원한다. 특히 위암(30대), 대장암(40대) 조기 검진을 전국 최초로 지원한다.
이동권 보장도 핵심이다. 마을버스와 시내버스는 2032년까지 모두 저상버스로 전환하고, 휠체어 탑승 가능한 유니버설 택시 1천대도 보급한다. 인공지능·로봇 기술을 적용한 첨단 보행 보조기기와 동력 보조장치도 장애인에게 지원한다.
서울시는 장애인 거주시설 인권침해에 대해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적용하고, 생활체육교실과 배리어프리 공연을 확대한다.
이날 프로젝트를 직접 발표한 오세훈 시장은 "장애인이 특별히 보호받아야 할 대상이 아니라 사회를 함께 만들어가는 주체"라며 "평범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서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