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사회선교 변화 준비해야"

의료, 요양, 복지 서비스를 지역 단위에서 통합 제공
"교회, 사회선교 문턱 높아질 것…공공과의 협력 방안 미리 논의해야"




[앵커]

내년 3월부터 돌봄통합지원법이 시행됩니다.

의료, 요양, 복지 서비스를 지역 단위에서 통합해 삶의 터전에서 돌봄을 이어가겠다는 취지인데요.

법 시행을 앞두고 지역사회와 교회가 어떤 준비를 해야 할지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장세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노인들이 휴식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자]

돌봄통합지원법은 노화나 장애 등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병원이나 시설이 아닌 삶의 터전에서 돌봄을 받도록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내년 3월 법 시행을 앞두고 지역사회의 돌봄체계와 교회의 사회선교 방향을 점검해보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전문가들은 시설 중심 돌봄을 지역공동체 중심으로 옮겨오는 '돌봄 커먼즈' 개념을 강조했습니다.

커먼즈란 서울 마포구의 '성미산마을'과 같이 마을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지속 가능한 공동체를 만드는 것을 뜻합니다.

[녹취] 김민수 / <서울의 공간경제학> 공저자
"(성미산마을은) 위기 시에 아이들의 돌봄을 해결하지 못한 가족들을 공동체가 대신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이런 모습을 보였던 거죠. 발달장애인 중심으로 해서 발달장애인들이 소외되지 않게 마을에서 할 수 있는 '사부작(발달장애인 청년 생활공동체)' 활동 같은 것도 하기도 하고…"

현장 실무자들은 법의 실효성을 위해선 시행에 앞서 지역 맞춤형 돌봄체계를 풍부하게 논의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윤은주 / 성공회 노원나눔의집
"(돌봄통합지원법의) 목적을 잘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해서 실제 그게 법에 얼마나 담아낼 수 있는 건지, 그리고 지역 선에서 어떻게 담아낼 수 있을 건지, 우리 지역의 특성에 맞춰서 그런 구조를 또 어떻게 만들어나갈 수 있을지…"

교회의 사회선교 역할이 더 커질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그동안 교회가 식사 제공, 방문 섬김 등 틈새 돌봄을 담당했다면 이제는 단순 봉사자가 아닌 공공과 협력해 돌봄의 주체로 참여해야 하는 만큼 지역 교회끼리 협력하는 등 미리 준비가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습니다.

[녹취] 자캐오 원장 / 성공회 용산나눔의집
"사실은 통합돌봄에 뛰어들 수 있는 교회들은 자기 건물이 있고 그 건물의 일부분을 관하고 공동으로 공유할 수 있는 교회만 할 수 있어요. 실제로. 아마 그렇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왜냐하면 현재 최초로 성동구에서 통합돌봄국을 만들어서 여러 가지 기준을 만들고 있는데 보니까 생각보다 허들을 그렇게 낮게 잡지 않을 거예요."

지역사회와 교회에 더 큰 역할을 요구하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을 앞두고 교회의 지역사회 돌봄 사역도 시대 변화에 맞춰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CBS뉴스 장세인입니다.

[영상 기자 정용현 / 영상 편집 이민 ]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