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리스크 선제관리"…61개사 'AI 프라이버시 공동선언' 발표

최장혁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부위원장.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제공

국내 주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들이 15일 인공지능(AI) 혁신과 프라이버시 선순환 생태계 조성을 다짐하는 'AI 프라이버시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개인정보보호책임자협의회(한국CPO협의회)는 이날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개인정보보호 및 안전활용 선포식'을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의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95개국 148개 감독기구가 참여하는 세계 최대 개인정보 감독기구 협의체인 제47차 글로벌프라이버시총회(GPA) 사전 행사로 마련됐다.

선언문에는 카카오, LG유플러스, SK텔레콤,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기아, 삼성카드, 비바리퍼블리카, 우아한형제들 등 61개 CPO협의회 회원사가 이름을 올렸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제공

이번 공동선언문은 AI 개발·활용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데이터 처리와 관련해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과 신뢰 확보를 강조한 것으로 'AI 안전 생태계 조성을 위한 7대 실천사항'으로 구성됐다.

7대 실천사항에는 △AI 기술 혁신 촉진 △투명성 확보 △프라이버시 리스크 선제 관리 △모두에게 공평한 AI 혜택 보장 △프라이버시 관련 법규 준수 △신뢰기반 AI 협력 강화 △보호책임자 중심 AI 프라이버시 거버넌스 확립 등이 담겼다.

최장혁 개인정보위 부위원장은 축사에서 "국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규모 유출사고를 막기 위해 보호책임자 중심의 내부통제 체계를 정착시켜야 한다"며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AI 데이터 거버넌스가 마련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염흥열 CPO협의회 회장은 "이번 공동선언문은 AI 일상화 시대에 혁신과 프라이버시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글로벌 행동강령의 출발점"이라며 "국내외 기업과 기관들이 함께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