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회 경암상 수상자로 광주과학기술원 김유수 교수 등 4명이 선정됐다.
울해부터는 특히, 상금 액수가 부문별 기존 2억원에서 3억원으로 늘어나 명실공히 국내 최다 상금 반열에 오르면서 전국적인 학술상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높혔다.
경암교육문화재단 경암상위원회는 15일 4개 분야의 수상자를 발표했다. 수상자로는 자연과학 부문의 김유수 교수(광주과학기술원 화학과), 생명과학 분야의 허준렬 교수(하버드 의과대학), 공학 분야의 김호영 교수(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특별상에 김상배 교수(MIT 기계공학부)가 각각 선정됐다. 올해의 경우 인문·사회 분야 수상자는 배출하지 않았다.
다만, 상금이 증액되고 외국 대학에서 한국 학술 분야의 위상을 높이고 있는 한국계 교수가 수상자에 포함되면서 세계적인 학술상으로 발돋움한다는 평가다.
경암상은 故 경암 송금조 태양그룹 회장이 전 재산을 출연해 2004년 설립한 경암교육문화재단에서 2005년 시상하기 시작해 매년 인문·사회, 자연과학, 생명과학, 공학 등 각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학자들을 선정·시상해 왔으며, 올해로 제21회를 맞이했다. 부산을 기반으로 한 전국 규모의 학술상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이종호 서울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하는 경암상위원회는 올해 수상자 선정을 위해 전국 대학 총장·학장, 주요 학회장, 대학교수 3인 이상의 추천을 받아 총 59명의 후보자를 접수했다. 이후 각 분야별 저명한 석학과 전문가 6~7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두 차례에 걸쳐 심사를 진행했으며, 최종적으로 경암상위원회가 전체를 심의·의결하여 분야별 수상자를 확정했다.
시상식은 오는 11월 7일 부산 서면 경암홀에서 역대 수상자와 경암상위원회, 경암상 심사위원 및 학·예술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각 수상자에게는 3억원의 상금과 상패가 수여되며, 수상자만을 위한 헌정곡 연주로 특별한 축하와 감동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