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는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안전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2025년 광주안전대진단'을 오는 10월 30일까지 50일간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른 전국 단위 점검으로, 광주시와 5개 자치구, 민간 전문가, 시민안전관찰단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방식으로 진행된다.
점검 대상은 공공시설물 142개소, 전통시장 및 다중이용시설 126개소,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노후 공동주택 92개소 등 총 360개소다. 또 CCTV 통합관제센터와 연결된 방범비상벨 3226개소의 작동 여부도 확인한다.
광주시는 특히 2023~2025년 집중 안전점검에서 지적된 보수·보강 미이행 시설의 후속조치 이행 여부를 중점 확인하고, 안전점검시스템 이력 현행화도 병행할 방침이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는 전통시장과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화재 및 시설 안전 상태를 면밀히 살피기로 했다.
이와 함께 화재안전 취약세대에는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소화기를 지원하고, 시민안전관찰단 29명이 직접 방범비상벨 점검에 참여한다. 또 '안전점검의 날'과 연계한 홍보 캠페인도 전개해 시민들의 안전의식을 높일 계획이다.
광주시 김준영 시민안전실장은 "이번 안전대진단은 시민 일상과 밀접한 시설에 대한 선제적 안전관리 조치"라며 "현장 중심의 철저한 점검을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도시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