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상병 순직 사건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수사 중인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핵심 인물인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첫 조사를 앞두고 혐의를 다지고 있다.
해병특검은 14일 오후 이충면 전 국가안보실 외교비서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 중이다.
특검은 이 전 장관이 지난해 3월 4일 채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를 받던 도중 호주대사로 임명돼 출국하게 된 경위를 수사 중이다.
당시 이 전 장관은 공수처에 의해 출국금지된 상태였는데 윤석열 전 대통령에 의해 호주대사로 임명됐다. 이후 법무부가 출국금지를 해제해 호주로 출국했고, 여론이 악화하자 귀국해 사임했다.
특검은 이 전 비서관을 상대로 당시 이 전 장관 귀국을 위해 외교 당국이 주요 공관장 회의를 급조한 것은 아닌지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당시 외교부는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인도네시아, 카타르, 폴란드 등 6개국 주재 대사들이 참여하는 방산 협력 공관장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 회의는 안보실 차원에서 이 전 장관 귀국을 위해 급하게 만들어졌다는 의혹이 있다.
앞서 특검은 지난달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 장호진 전 안보실장,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법무부 및 외교부 청사 등을 압수수색했다. 이재유 전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도 지난달 조사받았다.
특검은 오는 17일 이 전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해외 도피 의혹에 관해 조사할 예정이다.
한편 특검은 이날 오후부터 수사 외압 의혹의 피의자 중 하나인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도 다시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신 전 차관은 출석 전 취재진과 만나 '대통령이 박정훈 대령을 보직해임하라고 지시했나'라는 물음에 "그런 적 없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