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첫 주중대사로 노태우 전 대통령의 장남인 노재헌 재단법인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이 내정된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중국 외교부가 "정식 지명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노 이사장의 주중대사 내정에 관한 질의에 "우리는 관련 보도에 주목했다"며 "사절은 국가와 국가 간 우호 협력 관계 발전의 중요한 교량으로, 중국은 한국의 정식 지명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한국 언론을 통해 노 이사장의 주중대사 내정설이 보도됐지만, 한국 정부가 아직 정식 발표를 하지 않은 만큼 중국 측도 관련해 직접적인 언급은 피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노 이사장은 지난 2012년 동아시아문화재단을 설립해 한중 문화교류 사업을 추진한 중국 전문가다. 2016년 중국 청두시 국제자문단 고문을 맡았고, 2021년 외교부 한중관계미래발전위원회 사회문화분과 위원장 등을 지내기도 했다.
지난달 24~27일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중국 특사단으로 합류해 박병석 전 국회의장,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박정 의원과 함께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보내는 친서를 전달하기도 했다.
노 이사장이 내정된 배경에는 한중 수교를 이끈 노 전 대통령의 아들이라는 점이 평가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과 중국은 노 전 대통령 재임 당시인 1992년 8월 수교를 맺었다.
이런 인연으로 노 이사장과 다이빙 주한중국대사는 지난달 19일 한중수교 33주년 기념일을 앞두고 노 전 대통령 묘소를 참배하기도 했다.
다만, 노 이사장이 정통 외교관 출신이나 정치인 출신이 아니라는 점에서 의외의 발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동시에 노 전 대통령의 행보에 대한 반감도 여전하다는 점에서 노 이사장의 정부 고위직 내정이 부적절하다는 시각도 있다.
주중 한국대사는 지난 1월 정재호 전임 대사가 후임 없이 이임한 뒤 7개월 넘게 공석 상태로 현재는 정무공사의 대사대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