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가 이재명 대통령 등 여권 인사들을 향해 '죽었으면 좋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을 두고 우원식 국회의장이 "국민 앞에 사죄하라"고 촉구했다. 송 원내대표는 사태 발생 하루가 지났음에도 여전히 사과를 하지 않고 버티고 있다.
11일 우 의장은 국회 본회의에서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이 끝난 후 "국회 본회의장은 국민의 삶에 영향을 주고 공동체를 규율하는 의사결정이 이뤄지는 곳이다. 그만큼 무거운 책임이 따르는 공간"이라며 "정치 현실이 아무리 험악하더라도 지켜야 할 선은 지켜야 국민의 대표"라고 운을 띄웠다.
이어 "본회의장에서 비상계엄 당시 국회의장, 그리고 여야 대표를 비롯한 주요 인사들이 죽임을 당할 뻔한 그 일이 '성공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취지의 발언이 있었다"며 "아직 한마디 해명조차 없다. 급기야 같은 당 최고위원이 공식 회의석상에서 이를 옹호하고 동조하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꾸짖었다.
그러면서 "차마 믿을 수 없을 만큼 참담하다. 이른바 노상원 수첩, 그 존재만으로도 국민들 가슴을 쓸어내렸던 그 참혹한 내용을 두고 '그렇게 됐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발언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한단 말인가"라며 "상대에 대한 비판과 견제가 아니라 망동이며 국민 상식과 헌법으로부터의 일탈"이라고 일갈했다.
그는 "만약 국회가 그 당시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을 통과시키지 못했더라면 어떤 일이 벌어졌을지 생각만으로도 끔찍하다"며 "5·18 광주가 기억나지 않는가. 그 참담했던 국민 살상 행위, 민주주의 침탈 행위가 기억나지 않는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회를 침탈하고 헌정 질서를 중단시키고 정치적 상대방을 폭력으로 제거하려는 내란에 찬동한다는 의미인지 분명한 입장을 밝히고 국민 앞에 사죄해야 한다"며 "의장은 국회 대표로서, 또 그 무도한 계획에 의해 살상 당할지도 몰랐던 피해자로서 이 사태를 매우 중대하게 인식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발언 당사자께서 정식으로 사과할 것을 요구한다"며 "국민 앞에 사죄하기 바란다. 헌법과 민주주의 앞에 사과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