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5주만에 반등했다. 한국부동산원이 11일 발표한 9월 둘째 주(9월 8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전주(0.08%)보다 0.01%p 오른 0.09%를 기록했다. 지난 6.27 대책 발표 직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지난 8월 첫째 주를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둔화 추세를 유지했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도 전주(0.00%)보다 0.01%p 오른 0.01%를 기록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15개 자치구 상승률이 확대됐고, 7개 자치구 상승률은 전주와 같았다. 상승률이 둔화된 자치구는 3개구에 불과했다. 강북에서는 마포구(0.12%→0.17%), 용산구(0.13%→0.14%), 성동구(0.20%→0.27%)가 상승률 확대를 견인했다.
이들 3구는 6.27대책 이후 지난주부터 상승률이 동반 확대됐다. 강남3구 중 강남(0.09%→0.15%), 서초구(0.13%→0.14%)는 상승률이 커진 반면 송파구(0.19%→0.14%)는 축소됐다.
한국부동산원은 성동구가 금호·옥수동 역세권 위주로, 마포구는 공덕·상암동 위주로, 용산구는 문배‧이촌동 위주로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강남구는 대치·개포동 재건축 추진 단지가, 서초구는 반포‧잠원동 주요 단지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이번주 자료는 기준일이 9.7대책이 발표된지 하루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이어서 부동산 대책의 영향이 제대로 미쳤다고 보기에는 힘들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가 전주와 같은 0.00% 상승률을 기록한 반면 인천(-0.04% → 0.00%)은 아파트매매가격이 하락에서 보합으로 전환됐다. 수도권 전체는 전주 대비 0.01%p 상승한 0.03%를 기록했다.
전국의 전세가격 상승률은 전주 대비 0.01%p 오른 0.03%를 기록했다. 서울은 전주와 같은 0.07%를 기록한 반면 수도권 전체는 0.01%p 오른 0.03%가 나왔다. 지방은 전주 대비 0-.01%p 줄어든 0.01%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