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11일 "과거사와 영토 문제는 분리해 접근하되, 경제와 민간 교류 등 미래 지향적 사안에서는 새로운 협력 틀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는 보통 일정한 규칙이나 규범, 상식과 윤리 속에서 살아간다. 그런데 국제관계는 사실 규칙이 없다. 규칙이 있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필요하면 언제든 규칙이 없는 것"이라며 "그래서 어렵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상대국 총리나 대통령이 누구인지, 그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한일관계에 있어 과거사나 영토 문제는 매우 어려운 주제다. 하지만 협력하고 지지하고 함께할 일이 또 많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거사나 영토 문제를 외면하지는 않되, 사회 경제나 민간 교류같은 미래지향적인 문제는 이런 문제대로 별도로 접근해야 (한일관계) 개선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시바 총리와의 경험을 들어 "국민들은 이시바 총리를 비판하기도 하지만, 얼굴 보고 조건을 달지 말고, 오기 어렵다면 내가 먼저 가겠다. 이웃과 친하게 지내듯 엄격하게 따지지 말고 먼저 대화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가기 전에 제가 먼저 갔고, 대미 협상에도 필요한 측면이 있었다. 일본에서 저를 볼 때 과격하게 나올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았고, 생각보다 얘기할 여지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사도광산 문제와 관련해서도 "이시바 총리가 사임 의사를 밝히기 전에 협의했지만 의견을 합치하기 어려웠다. 이번에는 포기하지 않고, 싸우지 말고 협상은 계속하되, 가지 않는 것이 외교적으로 싸우는 것이 되기도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 이시바 총리보다 더 어려울 수도 있다. 누가 될지 모르지만, 그때 맞춰 기본적 원칙과 투트랙 전략에 따라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따질 것은 따지고, 규명할 것은 규명하면서 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경제적 분야와 경제 질서가 재편되는 상황에서 한일 경제 분야 새로운 협력 틀은 반드시 필요하다. 일본과 한국 모두에게, 넓게 보면 동북아 안정에도 필요하다"며 "협력 가능한 부분에 여지를 두고 대화하며, 넓은 마음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