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11일 "북미 대화가 열리는 것이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된다. (북한과의 대화를) 우리가 주도하거나 (우리) 바운더리 안에서 해야 한다고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연말 APEC정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 지난달 한미정상회담에서 언급했던 '페이스 메이커' 역할을 준비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우리가 주도해야 한다고 반드시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래서 페이스 메이커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은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다. 트럼프라는 사람의 특성이 한반도 평화와 안전의 확보에 더 도움이 된다고 본다"면서 "지구의 마지막 남은 분단국가로 세계 불안정에 가장 큰 요소 중 하나라고 할 한반도 평화문제에 대해 실질적인 진전을 만들어내면 진정한 페이스 메이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남북관계는 복합적인 국제문제가 돼 있다. 핵개발이나 탄도미사일은 미국과 아주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고 북한 입장에서도 자신들의 체제를 위협하는 핵심은 남한이 아니라 미국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미국과의 관계가 남북관계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미관계의 개선이 남북관계와 무관하지 않다. 저는 실용주의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이념과 가치, 혹은 저 개인의 신념보다 국민들의 삶과 나라의 국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여러 유화조치에도 냉랭한 북한의 태도에 대해서는 "우리 정부가 바뀌더니 대북 방송 하지 않고 몇가지 유화조치를 한다고 해서 (북한이) 홱 돌아서서 화난 표정을 활짝 웃는 표정으로 바꿀 것이라고 기대했다면 바보다"라며 장기적인 노력을 주문했다.
이어 "현실적으로 우리는 무엇을 하느냐, 끊임없이 (북한에) 타진하고 노력하는 것"이라며 "(남북이) 가장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당사자들인데 가장 냉담하고 적대적이다. 슬픈 현실이다. 특별한 진전이 없지만 노력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남북관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북한과의 긴장관계가) 군사문제에서도 심각하고 경제에 있어서도 엄청난 피해를 입힌다. 그래서 휴전선의 군사적 긴장을 조금이라도 완화하는 것이 우리에게 이익이다. 그들이 웃지 않는다고 우리도 화난 표정을 지속하면 우리가 손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을 위해서도 아니고 이재명이 '종북'이라서가 아니라, 대민의 안보와 경제, 민생을 위해 필요하다. 우리는 끊임없이 한반도의 긴장 완화를 위해, 평화와 안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