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소·쿠팡 저가 공세에 다 말라 죽어요" 문구업계 절규

문구 3단체, 정부에 '보호 정책 마련' 촉구…부가세 면제와 키오스크 도입 지원 등 호소

(왼쪽부터)문윤호 한국문구공업협동조합 이사장, 이동재 한국문구인연합회 회장, 장낙전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 이사장.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문구업계가 정부에 생존 방안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문구인연합회와 한국문구공업협동조합,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은 10일 서울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문구업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문구 3단체는 "쿠팡과 다이소 등 대형 유통사가 문구류를 소비자 유인을 위한 '미끼상품'으로 취급하며 초저가 대량 판매함으로써 문구업 전반의 가격·유통 질서를 뒤흔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이로 인해 전통 문구점들이 가격 경쟁력에서 밀려 폐점에 내몰리며 생계를 위협받고 있다"고 밝혔다.

2018년 1만여 곳에 이르던 문구 소매점 수는 올해 4천 곳으로, 무려 60% 이상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이들 단체는 "서적이 문화적 가치 상품으로 분류돼 대기업으로부터 보호받듯 문구 역시 생활·문화적 가치를 지닌 상품인 만큼 대형 유통사들의 문구용품 취급에 제한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문구인연합회 이동재 회장은 "유명 온라인 플랫폼들이 서적을 판매하고는 있지만, 판매 가격을 10% 이상 낮추지는 않는다"며 대형 유통업체들의 무차별적인 문구 저가 공세를 강력 비난했다.

특히 이들 단체는 "정부가 '문구점 보호법' 제정 등을 통해 미래 세대 교육과 창의성을 뒷받침하는 '뿌리산업'으로서 문구업을 적극 지원해 달라"고 호소했다.

문구 3단체는 이와 관련해 국민 생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공공성을 인정해 서적처럼 문구용품도 부가가치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할 것을 제안했다.

경영 위기에 직면한 문구점들의 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정부가 '문구용품 자동판매 시스템(키오스크)' 설치를 지원해 줄 것도 주요 요구 사항에 포함됐다.

중기중앙회 김기문 회장은 "문구업계의 절박한 호소는 대형 유통업체들의 영업 활동 자체를 막자는 게 아니라 상생하자는 취지"라며 정부와 사회의 깊은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