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에 가담한 혐의로 기소된 문상호 전 국군정보사령관이 지난해 9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으로부터 '제2수사단' 관련 인원 선발 요청을 받았다고 증언했다.
문 전 사령관은 10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부(이현복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노 전 사령관의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혐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문 전 사령관은 "노 전 사령관이 지난해 9월 중순쯤 명단이 필요하다고 전화로 연락해왔다"며 "북한 고위급 장성을 포함해 대량 탈북 상황이 발생하면 임무를 수행할 수 있으니 유능한 인물을 추리라고 했다"고 했다.
이어 "극도로 민감한 사안이니 보안을 철저히 하고, 아무한테도 이야기하지 말라고 했다"며 "이후 10월 초중순경 김봉규·정성욱 대령을 아예 지목해 두 사람들로 하여금 뽑도록 하라고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지난해 10월 6일 노 전 사령관이 '4·15 부정선거 비밀이 드러나다'라는 책을 요약해달라고 요청하며 "책자를 하나 보낼 테니 두 대령에게 부탁해 요약해달라. 요약된 내용을 사령관이 직접 받아본 후 그 다음에 나에게 보내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문 전 사령관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직접 통화한 사실도 언급했다. 지난해 10월 14일 김 전 장관에게 전화가 와 "노 전 사령관을 잘 도와주라"고 했다는 것이다.
당시 상황과 관련해 "(노 전 사령관의 지시가) 비정상적이고 내키지 않아 내색했더니 노 전 사령관이 저에게 '너 나 못 믿냐. 내가 너한테 나쁜 것 시키겠냐'고 분위기가 약간 고조된 상태였다"며 "제가 아니라고 하자 '장관이 너한테 전화할 테니 장관 전화를 받아보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김 전 장관은 문 전 사령관에게 "모든 건 장관인 내가 다 지시한 것"이라는 언급도 했다고 한다.
문 전 사령관은 지난해 11월 19일 요원 선발과 관련해 김·정 대령으로부터 최종 명단을 보고받았고 이를 노 전 사령관에게 전달했다고 말했다.
이어 "(명단을 본 뒤) 노 전 사령관이 '군무원은 빼고, 부사관은 포함시켜라', '전라도 인원들은 빼라'고 직접 지시했다"며 "군무원과 전라도 출신을 왜 빼야 하는지 이해를 못 했지만 되물어보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같은 해 11월 안산 상록수역 인근 카페에서 노 전 사령관과 김 대령을 직접 만났을 당시 상황과 관련해선 "노 전 사령관이 '상황이 발생하면 선관위에 병력이 들어가야 한다'고 했다"며 "도대체 무슨 상황인데 정보사가 들어가야 하느냐고 물었지만, 끝까지 답은 하지 않았다. '나중에 시간 되면 알게 돼. 나중에 속보가 언론에 나올 거야'라고만 했다"고 했다.
아울러 문 전 사령관은 '노 전 사령관이 노태악 중앙선관위원장은 내가 직접 처리하겠다고 이야기했느냐'는 질문에는 "'선관위 가서 내가 조사하면 다 얘기할 거야'라는 뉘앙스의 이야기를 했던 것 같다"며 "구체적으로 이름이나 직책이 기억나지는 않는다"고 했다.
노 전 사령관이 케이블타이와 야구방망이 준비를 지시한 사실에 대해서는 "위협한다는 느낌이 났다. 위협하면 이 사람들이 다 이야기할 것(이라는 뉘앙스였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