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연일 산업재해를 줄이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는 가운데, 전주시 소속 직원의 산업재해가 전년 대비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전주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환경관리원과 공무직 등의 산업재해는 총 27건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15건)에 견줘 2배가량 늘었다.
올해는 절반 이상이 환경관리원(17건) 근무 중에 발생했다. 주로 쓰레기 수거 과정의 끼임이나 넘어짐, 무리한 동작 등으로 다쳤다. 대부분의 사고가 '개인 부주의'보다 고된 작업환경과 계절적 요인의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이다. 실제 공무직 A씨는 제설장비를 정비하기 위해 사다리에 올라가다가 버팀대가 부러지면서 추락했다.
앞서 전주시는 올해 1~6월 직접관리대상 사업장과 종사자를 상대로 '2025년 상반기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의무이행사항'을 점검했다. 법적 의무사항인 유해위험요인 확인 및 개선, 산업재해예방 예산 편성 및 집행, 안전보건관리책임자와 관리감독자 업무 이행, 중대산업재해 대응 매뉴얼 작성 및 준수 등을 살폈다.
점검 결과, 즉시 시정 가능한 유해·위험요인(8건)에 대해선 개선 조처를 했다. 중대산업재해와 관련해 전주시의 직접관리대상은 총 3700명이다. 공무원, 공무직, 직영 환경관리원, 청원경찰, 기간제 등 일자리 사업 노동자가 해당된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회의 등을 통해 줄곧 산업재해 근절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드러내 왔다. 이 대통령은 경제적 제재, 징벌적 손해배상 등 실효성 있는 방안들을 직접 언급하며 추진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