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2분기 기업 성장성·수익성 모두 악화…美 관세 인상 영향"

전년 동기 대비 매출 0.7% 하락…영업이익률 1.1%p↓
매출 2023년 4분기 이후 첫 역성장…"관세 직·간접 영향 있었을 것"
"관세 협상 타결됐지만 아직 불확실성 높아"

연합뉴스

미국 관세 인상 영향 등으로 지난 2분기 국내 기업들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모두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2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 2만 6067개(제조업 1만 2962개·비제조업 1만 3105개)의 2분기 매출액증가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7% 줄었다. 올해 1분기 2.4% 증가에서 감소로 전환했다.
 
제조업(2.8%→-1.7%) 매출 감소 폭이 비제조업(1.9%→0.3%) 감소 폭보다 컸다.
 
제조업 가운데 석유화학(-1.9→-7.8%)의 성장성이 현저히 둔화했다. 유가 하락과 설비 가동률 하락에 따른 수출액 감소 때문이다.
 
기계·전기 전자(5.9→2.2%)는 AI 투자 확대에 따른 고부가가치 제품군 수출 호조에도 지난해 2분기 높은 매출액증가율(20.7%)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작용했다.
 
비제조업은 도소매(5.0→2.0%), 운수업(5.6→-0.5%) 등에서 매출 증가율이 하락했다. 에너지 관련 수입 감소, 해상운임지수 하락 등이 원인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문상윤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매출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23년 4분기의 -1.3% 이후 처음"이라며 "품목별 관세에 따라 철강이나 자동차 등에 직접적 영향이 없었다고 보기 어렵다. 간접적인 여러 영향도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3분기 전망에 대해선 "관세 협상이 타결됐지만, 아직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부정적 요인의 크기를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2분기 기업들의 수익성 지표도 악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조사 대상 기업의 2분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5.1%로, 지난해 2분기(6.2%)보다 1.1%포인트(p) 떨어졌다.
 
제조업(7.1→5.1%) 중에서는 운송장비(7.6→2.7%)의 하락 폭이 컸다. 미국 관세 인상 등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비제조업(5.1%)은 운수업(9.1→7.0%)이 상승했지만 전기가스업(3.2→5.0%)이 하락하면서 지난해 2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6.6→5.1%)의 영업이익률이 하락했지만, 중소기업(4.4→5.0%)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