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인 '홈플러스 폐점' 사태에 "정부가 정상화를 위해 즉각 개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전남 공동대책위원회'는 9일 오전 11시 전남 순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법원이 전국 15개 점포 폐점 무효를 선언하고 책임을 다하며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는 더 이상 홈플러스를 훼손하지 말고 정상화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공대위는 오는 13일 홈플러스 순천점 앞에서 시민들과 함께 '전국동시다발 총궐기 대회'도 개최키로 했다.
울산 등 전국 곳곳에서 속속 결성된 공대위는 "홈플러스는 사회적 기반시설로, 수 십만 명의 생계가 걸려 있으며 회사는 팔 수 있어도 노동자들의 삶은 팔 수 없고, '회생'이 아닌 '청산'으로 가는 홈플러스 조기 폐점 발표를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전남지역에서는 4개 점포(순천, 순천풍덕, 광양, 목포) 4천 명의 노동자와 입점 소상공인이 생존 위협에 직면했다.
홈플러스 측은 임대인과 협상이 결렬됐다며 총 15개 점포를 연내 폐점할 계획을 3일 발표했다.
그러나 공대위는 "15개에 이어 추가 폐점이 이어질 것으로 판단한다"며 "청산 절차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한 무리한 구조조정으로 근무 노동자와 입점업주·지역상권 붕괴 초래를 우려했다.
공대위는 "점포 1개가 폐점시 945명의 직간접 고용노동자와 7천 898명의 인근 지역상권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으며 연간 2700억 원의 지역경제 손실과 근처 주택가격 최대 34% 하락 가능성 등 피해가 특정 집단을 넘어 지역 주민과 소비자 전체에게 돌아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공대위는 "대규모 폐점 발표 책임이 MBK파트너스와 관리 감독 책임을 다하지 못한 회생법원에 있다"며 "회생법 61조에 따르면 폐점 같은 중대한 영업행위는 법원의 사전 허가 없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이성수 진보당 전남도당 위원장은 "홈플러스 폐점 파장에 대한 이재명 정부의 입장이 이재명 정부가 사회와 기업 노동에 대한 입장임을 측정하는 척도가 될 것"이라며 "홈플러스 상황이 정상화될 때까지 노력하고 총력 투쟁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