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만 관중+2000억 원 수입 눈앞' KBO 리그, 韓 프로 스포츠 최다 관중 새 역사

프로야구가 지난해를 넘어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을 새로 썼다. 사진은 만원 관중이 운집한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전경. 삼성 라이온즈

프로야구가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을 새로 썼다. 뜨거운 포스트 시즌(PS) 진출 경쟁 속에 국내 프로 스포츠 최다 관중 기록을 갈아치웠다.

5일 '2025 신한 SOL 뱅크 KBO 리그'는 3경기가 열렸는데 대구(2만4000명 매진), 인천(2만1529명), 창원(6590명)에서 5만2119명 관중이 몰렸다. 누적 관중 1090만1173명으로 지난해의 1088만7705명을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국내 프로 스포츠를 통틀어 최다 관중 기록이다. 이런 추세면 올해 1100만은 물론 1200만 관중도 넘어 1236만 명을 찍을 전망이다. 프로야구는 지난해 최초로 1000만 관중 시대를 열었고, 올해는 1200만 명으로 규모를 더 키울 것으로 보인다.

입장 수입도 역대급이다. 프로야구는 지난해 정규 리그 720경기에서 1593억 1403만 1733원의 수입을 올렸다. 올해는 632경기 만에 1813억 4691만 9505원이다. 남은 88경기에 250억 원 정도의 수입이 예상되는 가운데 올해는 2000억 원 돌파도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프로야구가 출범한 1982년 약 21억 원에 비해 100배 가까이 규모가 커졌다. 프로축구 K리그1과 K리그2의 총 입장 수입은 425억 5660만 4292원이었다. 물론 경기가 많지만 프로야구는 국내 프로 스포츠 최고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셈이다.

흥행 열풍 속에 순위 경쟁도 뜨겁게 펼쳐지고 있다. SSG와 삼성이 가을 야구 진출 가능성을 키운 가운데 롯데와 NC는 PS 진출 경쟁에서 뼈아픈 패배를 안았다.

5일 롯데와 홈 경기에서 홈런을 날린 SSG 고명준. SSG 랜더스

SSG는 5일 인천 SSG 랜더스 필드에서 열린 롯데와 홈 경기에서 홈런 4방을 터뜨리며 7 대 5로 이겼다. 최근 4연승을 달린 SSG는 64승 58패 4무로 3위를 달렸다.

반면 롯데는 62승 62패 6무로 하루 만에 5위에서 6위로 내려섰다. 이날 KIA와 광주 원정이 비로 취소된 kt(63승 62패 4무)가 5위로 0.5경기 차 5위가 됐다. 롯데는 5할 승률도 위태롭게 됐다.

삼성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에서 열린 키움과 홈 경기에서 홈런 2개를 날린 구자욱을 앞세워 8 대 3으로 이겼다. 64승 61패 2무로 SSG에 1.5경기 차 4위를 유지했고, kt와 승차를 1경기로 벌렸다.

5일 키움과 홈 경기에서 홈런 2방으로 승리에 앞장선 삼성 구자욱이 동료들의 축하를 받고 있다. 삼성 라이온즈


반면 키움은 41승 85패 4무로 3년 연속 최하위가 확정됐다. 임지열은 데뷔 첫 두 자릿수 홈런(10개)을 달성했지만 빛을 잃었다.

NC는 경남 창원 NC 파크에서 열린 홈 경기에서 두산에 연장 10회 끝에 3 대 9로 졌다. 3연패를 당한 7위 NC는 57승 61패 6무로 5위 kt와 승차가 2.5경기로 벌어졌다.

2연승을 달린 9위 두산은 8위 KIA를 1.5경기 차로 추격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