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일본이 먼저 상호관세를 이행한 것과 관련, 대통령실은 "우리 국익과 품목 관세 기준에서 가장 부합하는 측면에서 (합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5일 브리핑을 통해 "일본이 완료됐으니 우리도 완료한다는 식으로 접근하고 있지 않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강 대변인은 "속도 문제는 아니다"라며 "협상 주체들끼리 최대한 가장 국익에 부합하는 점을 찾아가고 있고, 성과가 구체화될 때쯤 이게 가장 우리의 국익에 부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대부분의 일본산 상품에 최대 15%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일본산 자동차에 붙는 품목관세도 기존 27.5%에서 15%로 내리면서, 아직 25% 관세를 물고 있는 국산 자동차의 수출이 불리한 조건에 놓이게 됐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행 25% 대신 15%로 관세가 낮춰질 경우 매월 손실 규모는 약 3200억원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추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