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가전 매출 5년 안에 2배 키운다"…LG전자의 전략은

류재철 HS사업본부장, IFA 현장 기자간담회
"유럽 1위 가전 브랜드로 도약할 것"
"유럽 빌트인 가전 부문 집중 육성"
중국 기업 성장세에는 "가장 큰 위협은 속도"
"넘을 수 없는 수준은 아니다"

LG전자 류재철 HS사업본부장. LG전자 제공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5에서 유럽 시장을 겨냥한 신제품들을 대거 내놓은 LG전자가 "유럽 가전 매출을 5년 내로 2배로 키워 확고한 유럽 1위 가전 브랜드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LG전자 류재철 HS사업본부장(사장)은 IFA 개막을 하루 앞둔 4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미 가시화되고 있는 성과와 고객 평판을 바탕으로 세운 목표"라며 이 같이 말했다.
 
LG전자는 IFA에서 'LG AI 가전의 오케스트라'를 주제 삼아 AI 홈 솔루션과 유럽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AI 가전 신제품 25종을 선보인다. 류 본부장은 "북미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프리미엄 시장인 유럽을 공략하기 위해 유럽 맞춤형 제품들을 구성하는데 이번 전시의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유럽은 북미와 함께 세계 최대 가전 시장으로 꼽힌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올해 유럽 가전 시장 규모는 약 150조 원에 달하며 2030년까지 연평균 4.1%씩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류 본부장은 유럽 가전 매출 2배 목표 달성을 위해 "B2B(기업간거래), D2C(소비자 대상 직접판매), Non-HW(소프트웨어·서비스) 등 수요·가격 변동성이 낮고 수익성이 담보된 사업 구조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세부적으로 B2B 영역에서는 유럽이 좁은 가옥 구조 때문에 빌트인 수요가 높은 점을 고려해 빌트인 가전 부문을 집중 육성할 것이라며 "유럽 내 빌트인 매출을 2030년까지 10배 이상 퀀텀 점프시켜 약 240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는 유럽 빌트인 시장에서 탑5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합리적인 가격과 고급 기능을 함께 갖춘 매스 프리미엄 브랜드 'LG 빌트인'을 중심으로 빌트인 가전 사업을 재편하고, 관련 사업 운영 국가도 서유럽, 북유럽 등 프리미엄 시장으로 확대 전개한다는 게 LG전자의 구상이다.
 
D2C 분야에서는 온라인브랜드샵 내 AI 서비스 강화로 판매율을 높이는 한편, Non-HW는 AI홈 플랫폼을 본격 사업화하고 이를 B2B 영역으로 확장해 나갈 것이라는 방향도 류 본부장은 밝혔다. 이와 관련해 AI를 탑재한 AI홈 허브 '씽큐 온(ThinQ ON)'과, 이와 연동되는 'LG IoT(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한국에 이어 유럽 주요국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LG전자는 제품 전략과 관련해선 핵심 부품에도 AI 기술을 접목한 'AI 코어테크' 기반 고효율 제품을 통해 에너지 절감이 화두로 떠오른 유럽 시장에서 주도권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고효율 기술을 볼륨존(중간가격대 시장) 모델에도 확대 적용해 'LG 제품은 곧 고효율을 의미한다'는 공식을 각인시킨다는 전략이다.
 
한편 류 본부장은 중국 가전 기업의 성장세에 대해서는 "가장 큰 위협은 속도"라며 "중국의 위협이 엄중한 것은 사실이나, 넘을 수 없는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고 밝혔다.
 
이번 IFA에서도 중국 가전 기업들은 공격적으로 신제품과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사 1785개사 가운데 3분의 1이 넘는 695개사가 중국 기업이다. 중국 기업들은 패권 경쟁 심화로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가 어려워지자 유럽으로 눈을 돌려 시장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류 본부장은 중국 기업과의 일부 제품 합작 개발 방식(JDM)을 택한 데 대해선 "중국 경쟁사들의 생태계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위한 것"이라며 "중국 업체들의 일하는 방식, 즉 그들의 심장에 들어가서 우리 경쟁력을 더 높일 수 있는 수단이 JDM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