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전승절 찾은 김정은, 그 의도엔 '한반도 정세 주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이 2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중과 관련해 "북중 관계 복원을 통해 대외 운신의 폭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과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은 이날 정보위 비공개회의에서 국정원으로부터 이같은 내용을 보고받았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국정원은 김정은이 이번 방중을 한반도 정세 주도의 최적의 카드라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했다"고 밝혔다.

국정원이 분석한 김 위원장의 방중 목적은 △북중관계 복원을 통한 대외 운신의 폭 확대 △중국의 경제적 지원 견인·체제 활로 모색 △러시아 편중 외교 탈피 △북미 대화를 염두에 둔 중국 지지 확보·미국의 태도 변화 유인 등이다.

이 의원은 "이번 방중은 김정은의 다자외교 데뷔전으로 북중러 연대를 과시하기 위한 파격 행보"라며 "향후 과감한 대내외 조치에 나설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이 전향적인 새로운 국가발전 노선을 제시하거나 러시아로부터 반대급부 수확에 나서며 방러 카드도 저울질 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참석하기 위해 지난 1일 전용열차로 출발했다. 연합뉴스

국정원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전날 평양에서 출발해 이날 새벽 국경을 통과했으며 오후쯤 베이징에 도착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 행사는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 의원은 "(김 위원장이) 중국 전승절 열병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란히 천안문 선두에 서서 냉전기 삼각연대 구도를 재현하는 한편, 북중정상회담 개최는 물론 북러 정상 간 만남이 이뤄질 것으로 국정원은 전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 의원은 이재명 정부 출범 후 북한의 대남 기조에 대해 "한국의 대북 정책과 접근 시도에 대응하지 말라는 지침을 하달하는 등 북한 내부에서 관계 개선의 기대감 확산을 경계하는 모습이 포착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중국 방문을 계기로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를 밀착시켜 외교 공간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남정책 전환이나 재조정 필요성의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고, 짧은 시일 안에 남북관계에 호응할 가능성도 낮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