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항로 개척에 5499억…해수부, 내년 예산안 7조 3287억 편성

해수부 2026년 예산안 올해보다 8.1% 증가
해양수도권 조성 등 대한민국 성장 동력 확보에 집중 투자
R&D 예산 역대 최대 규모…9367억 투입

해양수산부 제공

해양수산부는 2026년 예산안을 7조 3287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예산 6조 7816억 원 보다 8.1%인 5471억 원 증가한 것으로, 상승율로 보면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치이다.
 
주된 증가 요인은 북극항로 시대 주도, 해양수산 전 분야 (인공지능전환)AX 지원 등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 예산들이 반영됐다.
 
부문별로는 수산어촌에 3조 4563억 원, 해운항만에 2조 1373억 원, 물류등 기타(해양산업)에 1조 680억 원, 해양환경에 4212억 원, 과학기술연구지원에 2459억 원을 편성했다.
 
R&D 예산은 900억원대 기후대응기금까지 포함하면 9367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북극항로 시대 주도하는 해양강국 건설에 5499억원 투입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해운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투자를 확대해 1041억 원 늘어난 5499억 원을 투입한다.
 
대표적으로 해운선사의 쇄빙선, 내빙선 등 극지항해 선박 건조를 지원하고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등 북극 진출을 위한 기술개발에 적극 투자해 79억원이던 예산을 677억 원으로 대폭 늘렸다.

글로벌 물류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북극 화물별 거점 항만을 육성하고 부산항 진해신항과 광양항에 대규모 친환경·스마트 항만을 조성하는 등 항만 인프라 확충에 총 1조 6600억 원을 투입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할 예정이다.
 
해운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강화된다. 국제해사기구(IMO) 등 해운 분야 국제 환경 규제와 온실가스 감축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335억 원을 445억 원으로 늘려 배정했다.
 

수산업 경쟁력 강화에 9576억원 편성

수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활력 넘치는 어촌을 조성하기 위한 지원을 강화한다.
 
김으로 대표되는 수산물 수출 성장세를 가속화하기 위해 생산과 유통, 가공, 수출로 이어지는 수산업 전반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9576억 원을 투입한다.
 
생산 분야에서는 스마트 혁신 선도지구를 조성해 양식업의 스마트 전환을 촉진하는데 285억 원을 신규 배정하고 첨단·스마트 양식설비 보급을 확대하는데 131억원을 투입한다.
 
유통 분야에서는 물김 생산자와 가공업체 간 안정적인 원물 확보와 가격 안정 등을 위한 계약생산을 새롭게 지원하는데 408억 원이 신규 배정됐고 수출·가공 분야에서는 가공설비 지원에 102억 원, 수산물 해외시장 개척에 728억 원이 투입된다.
 
또 대규모 어촌 경제·생활거점 34곳을 신규 조성하고 청년들의 어촌 정착을 위한 일자리·주거·생활 지원을 확대하는데 169억 원이 지원된다.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지원도 강화된다. 고수온 피해 예방 등을 위해 32억원을 신규 배정해 양식 품종을 선도적으로 전환하는 어업인을 지원하고 재해 대응장비 보급 등 피해 지원 예산을 250억 원에서 493억 원으로 확대한다.

태풍 등 재해로부터 연안 지역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정비 사업 예산도 882억 원에서 1142억 원으로 늘리고 갯벌 복원과 바다숲 조성을 통한 온실가스 저감 예산도 2295억 원에서 3821억 원으로 확장 편성했다.
 

역동적 해양산업 육성에 박차…AX 관련 예산 1483억원 배정

해양 신산업 육성에도 적극 투자에 나선다.
 
인공지능(AI) 선도국가 도약이라는 새정부 국정 방향에 맞춰 AI 응용제품 상용화 지원에 450억 원을 신규 배정하는 등 속도감 있는 인공지능전환(AX)을 위한 예산으로 333억 원보다 세 배 이상 늘어난 1483억 원을 편성했다.
 
2026년 3월부터 해상풍력특별법이 시행됨에 따라 해상풍력 계획 입지와 어업인 지원 정책 수립 등을 위해 20억 원을 신규로 투입해 입지정보 분석, 영향조사 등을 실시한다.
 
해양생물을 활용한 역노화 소재 개발 및 유전자 재조합 의약품 생산 기술 개발에 49억 원, 세포 기능과 면역 체계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추출해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는 연구에 21억 원을 투입하는 등 신규 연구개발(R&D)도 추진한다. 국립해양생물종복원센터 건립에 134억 원을 투입한다.
 
우리 바다에 대한 주권적 권리행사를 강화하기 위해 중국어선 등 불법어업 대응에 981억 원에서 1122억 원으로 늘리고 스마트 선박안전지원센터 건립 등 선제적 사고 예방을 위한 대응체계를 강화하는데 517억 원을 편성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내년도 예산 편성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해양수도권 조성 등 새정부 국정운영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예산에 중점 투자했다"며 "해양수산부가 대한민국의 성장에 앞장설 수 있도록 국회 예산 심의 준비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