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 "시진핑, SCO서 '신흥국 맹주' 부각…미중 회담 염두"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 톈진에서 8월 31일부터 이틀간 열린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서 러시아, 인도 등과 결속을 과시하며 자신이 '신흥국의 맹주'임을 부각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일 보도했다.

시 주석은 전날 연설에서 "개발도상국의 대표성과 발언권을 높일 것"이라며 " SCO 개발은행을 조속히 건설해 회원국의 안보·경제 협력에 더 힘 있는 지지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SCO는 중국과 러시아가 2001년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키르기스스탄 등 중앙아시아 4개국과 함께 만든 다자 협의체로, 인도·파키스탄·이란·벨라루스가 추가로 합류해 회원국이 10개로 늘었다.

요미우리는 지난해 카자흐스탄에서 개최된 SCO 정상회의에는 불참했던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올해는 참석한 점에 주목했다.

인도는 지난 몇 년간 미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중국을 견제했으나,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 등을 이유로 인도산 제품에 '보복성 50% 관세'를 부과하자 강하게 반발했다.

안보·통상 분야에서 미국과 대립하는 중국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서방의 비판을 받은 러시아에 인구 대국 인도까지 끌어들이는 모습을 연출했다.

요미우리는 "고관세 조치 등으로 미국 우선주의를 내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인도·러시아를 결속시켰다"며 시 주석이 거대한 원탁에 앉은 각국 정상을 바라보면서 트럼프 대통령을 염두에 두고 패권주의와 강권정치를 반대하는 발언을 했다고 전했다.

이어 시 주석이 이번 정상회의를 통해 가을에 개최될 수도 있는 미중 정상회담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려던 것으로 보인다고 해설했다.

이 신문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경우 SCO 정상회의가 러시아가 고립돼 있지 않다는 점을 알리는 좋은 무대가 됐다고 분석했다.

다만 요미우리는 모디 총리가 SCO 정상회의 참석에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통화했고 오는 3일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전승 80주년) 열병식에 불참하는 점을 보면 중국, 러시아와 보조를 완전히 같이하려는 것은 아닌 듯하다고 짚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