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교진, 석사학위 논문 표절 논란에 "출처표시 소홀…송구"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류영주 기자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자신의 석사학위 논문 표절 논란에 대해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기사 등을 인용하며 출처 표기가 없었던 점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최 후보자는 31일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질의 답변서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논문 표절 논란에 대해 사과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 후보자는 2006년 12월 목원대 대학원 행정학과 석사학위 논문으로 '매니페스토 운동에 나타난 정책공약 분석 - 2006년 대전지역 지방선거를 중심으로'를 제출했는데, 이 논문에서 다수의 신문 기사를 출처 표기 없이 인용해 표절 의혹을 샀다.
 
다만 "논문의 핵심 내용이 매니페스토 운동이라는 당시의 새로운 정치 현상에 관한 것이라 언론 보도를 일부 활용할 수밖에 없었고 그 과정에서 출처 표시가 소홀했다"며 "해당 논문은 연구 윤리 관련 구체적 기준이 정립되기 이전인 2006년에 작성된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2007년 논문 표절·위조·변조 방지와 연구자 책무성을 강화하기 위해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을 제정했다.
 
그는 과거 SNS에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관련해 '정치적 탄압'을 받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데 대해서는 "교육자로서 입시 비리와 관련해 청년들이 받은 상처를 먼저 살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한 점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시 검찰의 과도한 수사와 권한 남용에 대한 비판에 공감하는 취지로 관련 글을 공유했지만, 자녀 입시 비리 등을 옹호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으로 거점국립대가 아닌 일반 대학이 정부 지원에서 소외당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내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거점국립대에 대한 지원은 다른 대학에 대한 투자의 감액 없이 별도의 증액을 통해 이뤄진다"며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을 통해 국가중심국립대와 교대가 지역의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 지원을 하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