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재동걸린 대만, 이번엔 산업계 '전면 재검토' 요구

대만 마안산 원자력 발전소. 연합뉴스

대만에서 최근 치러진 원자력발전소 재가동에 대한 국민투표에서 찬성표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오면서 탈원전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산업계가 탈원전 정책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다.

25일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상공인단체인 공상협진회는 원전 재가동 관련 국민투표 결과를 토대로 정부가 원자력 발전 등 에너지 구조에 대해 전면적인 재검토를 통해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TSMC 등 대만 대기업으로 구성된 중화민국33기업교류회의 린보펑 이사장은 대만 제조업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합리적인 전력요금과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에너지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국상업총회 쉬수보 이사장도 국민투표 부결에도 라이칭더 총통이 선진 핵에너지를 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원전 재가동과 관련한 평가와 안전 검사에 1년 6개월이 필요하므로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대만은 지난 5월 상업 운전면허가 만료돼 가동을 멈춘 남부 핑둥현 헝춘의 마안산 2호기(951㎿급)의 재가동에 대한 국민투표를 지난 23일 실시했다.

국민투표는 법정 요건 미달(총 유권자의 25% 이상 찬성)로 부결됐지만 투표자 가운데는 재가동 찬성(74.2%)이 반대(25.8%)의 거의 3배에 달했다.

이에 반대표를 호소해온 라이칭더 총통은 "미래에 기술이 더 안전해지고 핵폐기물이 더 적어지며 사회적 수용도가 높아진다면 선진 핵에너지를 배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발 물러섰다.

대만은 민주진보당소속 차이잉원 전 총통 당선 이후인 2016년부터 '탈원전' 정책을 추진해왔다. 이후 2018년부터 순차적으로 원전 가동이 중단돼 지난 5월 마안산 2호기를 끝으로 6기의 원전 가동이 모두 멈췄다.

이에따라 지난 2016년 12%에 달하던 원전 발전량 비중이 현재는 '0'이 됐다. 대만 정부는 원전의 빈자리를 신재생에너지로 채우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그러나 전력 소모가 큰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산업의 폭풍성장으로 전력 부족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만은 전세계적인 AI 열풍과 그에따른 AI 반도체 수요 급증의 최대 수혜국이다.

궈즈후이 경제부장(장관) 조차 지난 6월 "AI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2028년 이후 전력난이 우려된다"며 대책 마련 필요성을 언급했을 정도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