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택시 곧 현실로?…K-UAM 시범사업 지자체 지원 시작

연합뉴스

도시 하늘을 날아다니는 에어택시가 곧 상용화될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K-UAM(Urban Air Mobility)' 시범사업을 위해 지역별 맞춤형 지원을 본격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지원계획은 올해 4월 공고한 '2025년 도심항공교통 지역시범사업 지원 공모' 사업의 서면평가와 현장실사 및 발표평가를 거쳐 지자체 사업계획을 토대로 설정한 것이다. 지역 내 기반과 사업의 구체화 정도에 따라 예산 지원은 물론, R&D(연구개발)·실증 연계, 전문기관 컨설팅 등 지원 방향을 다각화한다.

지역마다 현황이 다른데, 제주는 제주공항과 지역 관광거점을 연결하는 관광노선을 계획하고 있어 국토부가 버티포트 설계 예산을 지원한다.

제주 UAM 지역시범사업 계획안. 국토교통부 제공

대구·경북은 산불감시, 고속도로 사고모니터링 등 공공형 사업을 계획하고 있어 국토부가 사업계획 수립 및 버티포트 설계 예산을 지원한다.

전남·경남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남부권 광역관광 개발계획에 따라 버티포트 인프라 등 관광기반 구축을 위한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울산은 기존 도로 중심 교통체계에서 벗어나 UAM을 통해 태화강과 울산역을 잇는 대체 교통망을 계획하고 있어, 국토부는 R&D 실증지로 버티포트를 구축할 계획이다.

서울·경기·인천은 인천·김포공항과 수도권 도심을 연결하는 공항셔틀노선을 계획하고 있어 높은 민간 수요가 예상됨에 따라, 국토부는 기체 안전성과 통합 운용성을 시험하기 위해 도심지 실증 시설을 구축하고 시범사업과 연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경기·인천 UAM 지역시범사업 계획안. 국토교통부 제공

부산은 연계 교통망이 우수한 부산역과 해운대를 연결하는 교통·관광 통합형 사업을 계획하고 있어 국토부가 주변 장애물(대형 선박, 교량)을 고려한 제도·기술적 컨설팅을 지원하고, 충북은 산불 등 재난 상황 대응 시 운용하는 헬기를 UAM으로 대체하는 사업관련 국토부가 컨설팅을 지원한다.

아울러 국토부는 전북, 강원, 충남 등 공모 미신청 지자체에 대해서도 자체검토 중에 있는 거점역 중심 버티포트 구축 계획 등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전문기관의 컨설팅 지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